제목 | 오산시 청년정책의 추진전략 및 발전방안 연구 | |||
---|---|---|---|---|
저자 | 김은경,문미성,최석현 프로필 | 과제분류 | 전략정책연구 | |
발행월 | 2020-10 | 보고서번호 | 2020-35 | |
판매유무 | 비매 | 원문 | ||
국문요약 | 외국어 요약 | English | ||
보도자료 | 인포그래픽스 |
❚ 오산시 청년 실태조사에 근거한 6가지 청년정책 기본방향
■ 1) 일자리 확충, 2) 통합적 관점에서의 청년정책 추진, 3) 오산시는 중앙정부 및 경기도와 오산시 청년의 가교 역할 수행, 4) 청년정책의 사각지대는 최소화하되 ‘선택과 집중’을 통해 오산시의 상징이 될 만한 정책사업 발굴, 5)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청년들의 개별적 상황을 고려한 정책 설계, 6) 정책의 효율적 추진과 성과 제고를 위해 오산시 청년정책의 전담부서 마련
❚ 오산시 청년정책의 비전은 ‘자립적⋅포용적⋅민주적 오산청년’으로 설정하고 청년 맞춤형 일자리 확충, 청년 친화형 도시 조성, 건강하고 유쾌한 청년, 청년정책 효과성 제고 등 4가지 전략 및 17개 정책과제 추진 필요
❚ 발전방안으로 5가지 사업 사례 제안
■ T.E.G. 캠퍼스 조성
• TEG 캠퍼스는 창업지원체계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네트워크형 플랫폼 활성화, 민간 중심의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 통합적인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 전문화 및 특성화, 개방형 창업공간 및 다양한 창업공간 조성, 오산시 기반 개방형 콘텐츠 중심 지원 등을 위한 공간으로 추진 필요
■ 연령대별 맞춤형 정책
• 제5장의 실태조사와 FGI에 근거하여 취업 및 일자리 지원과 주거문제 완화 등은 모든 연령대의 핵심 과제로 하면서 연령대별 특화 정책 추진 필요
■ 오산시 부서별 정책과의 연계 제고
• 청년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고 정책의 외연을 확장하기 위해 기존 정책들의 대상 범위 확대는 예산제약을 극복하면서 정책의 실효성 제고
• 청년정책과가 신설될 경우 청년정책과를 중심으로 오산시 청년정책을 위한 사업 추진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중앙정부 및 경기도와의 정책연계 추진
■ 오산 청년주간(Osan Youth Week) 지정
• 매년 정기적으로 오산시 청년들을 위한 축제의 장으로서 오산 청년주간 운영
• 청년이 주도하고 청년이 참여하는 청년문화예술축제의 장 마련
■ 미래형 혁신교육 추진
• ‘교육도시 오산’을 대표하는 지방자치단체 주도 미래형 혁신교육으로 에콜 42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교육 프로그램을 TEG 캠퍼스에 혁신교육 프로그램으로 도입하고 오산시 관내 고등학교에 선택적인 교과과정으로 도입
• 특히 대학 미진학 청년 및 학교 교육이 포괄하지 못하는 학교 밖 청년들과 저소득층 청년들을 위해서는 혁신교육과정에 우선적으로 배려
■ 1) 일자리 확충, 2) 통합적 관점에서의 청년정책 추진, 3) 오산시는 중앙정부 및 경기도와 오산시 청년의 가교 역할 수행, 4) 청년정책의 사각지대는 최소화하되 ‘선택과 집중’을 통해 오산시의 상징이 될 만한 정책사업 발굴, 5)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청년들의 개별적 상황을 고려한 정책 설계, 6) 정책의 효율적 추진과 성과 제고를 위해 오산시 청년정책의 전담부서 마련
❚ 오산시 청년정책의 비전은 ‘자립적⋅포용적⋅민주적 오산청년’으로 설정하고 청년 맞춤형 일자리 확충, 청년 친화형 도시 조성, 건강하고 유쾌한 청년, 청년정책 효과성 제고 등 4가지 전략 및 17개 정책과제 추진 필요
❚ 발전방안으로 5가지 사업 사례 제안
■ T.E.G. 캠퍼스 조성
• TEG 캠퍼스는 창업지원체계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네트워크형 플랫폼 활성화, 민간 중심의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 통합적인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 전문화 및 특성화, 개방형 창업공간 및 다양한 창업공간 조성, 오산시 기반 개방형 콘텐츠 중심 지원 등을 위한 공간으로 추진 필요
■ 연령대별 맞춤형 정책
• 제5장의 실태조사와 FGI에 근거하여 취업 및 일자리 지원과 주거문제 완화 등은 모든 연령대의 핵심 과제로 하면서 연령대별 특화 정책 추진 필요
■ 오산시 부서별 정책과의 연계 제고
• 청년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고 정책의 외연을 확장하기 위해 기존 정책들의 대상 범위 확대는 예산제약을 극복하면서 정책의 실효성 제고
• 청년정책과가 신설될 경우 청년정책과를 중심으로 오산시 청년정책을 위한 사업 추진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중앙정부 및 경기도와의 정책연계 추진
■ 오산 청년주간(Osan Youth Week) 지정
• 매년 정기적으로 오산시 청년들을 위한 축제의 장으로서 오산 청년주간 운영
• 청년이 주도하고 청년이 참여하는 청년문화예술축제의 장 마련
■ 미래형 혁신교육 추진
• ‘교육도시 오산’을 대표하는 지방자치단체 주도 미래형 혁신교육으로 에콜 42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교육 프로그램을 TEG 캠퍼스에 혁신교육 프로그램으로 도입하고 오산시 관내 고등학교에 선택적인 교과과정으로 도입
• 특히 대학 미진학 청년 및 학교 교육이 포괄하지 못하는 학교 밖 청년들과 저소득층 청년들을 위해서는 혁신교육과정에 우선적으로 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