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경기양주 테크노밸리 제조 융복합 활성화 방안 | |||
---|---|---|---|---|
저자 | 문미성,김은경 프로필 | 과제분류 | 전략정책연구 | |
발행월 | 2020-09 | 보고서번호 | 2020-32 | |
판매유무 | 비매 | 원문 | ||
국문요약 | 외국어 요약 | English | ||
보도자료 | 인포그래픽스 |
❚ 본 연구는 경기북부에 조성되고 있는 양주테크노밸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하며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음
■ 수도권 차원의 산업집적도 분석 결과, 경기북부에 첨단산업 고도집적지역은 거의 발전되지 못했으며 섬유, 가구 등 전통 제조부문에서 집적지역 형성
■ 경기북부지역 기업의 거래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경기북부에는 우리나라 성장을 이끌었던 전자 및 반도체, 자동차산업의 기업네트워크에 속한 기업이 거의 없음
• 경기북부의 핵심적인 기업네트워크는 ‘유통업’과 ‘건설업’과 관련됨
• 경기북부 기업들은 주로 이마트와 같은 대형유통업에 납품하는 업체들(생활소비재제조업)이 핵심을 이룸
❚ 양주테크노밸리 및 경기북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 양주테크노밸리 활성화를 위해 산업인프라 선제적 구축 필요
• 경기북부 테크노밸리는 기업입지 수요가 충분한 조건 하에서 추진되는 것이 아니라 낙후된 경기북부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사업이라는 정책적 합의의 산물
• 산업기반 시설에 대한 선제 투자는 테크노밸리 기업유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 양주테크노밸리는 경기북부 특화산업인 섬유, 가구 등 생활소비재산업의 고도화 거점으로 위상을 설정함
• 양주테크노밸리 입지 여건을 분석한 결과, 정보서비스업 등 고차서비스업 발전 가능성은 단기적으로는 낮으며, 경기북부의 핵심업종인 생활소비재제품과 관련된 혁신형 중소기업 집적지 조성이 필요함
• 양주테크노밸리는 경기북부 주요 제조업 집적지와의 지리적 접근성이 양호하고, 수도권 전문인력 활용 가능성이 높아 제조 융복합 혁신에 유리한 여건을 지님
■ 양주테크노밸리 활성화의 핵심기반으로써 스마트제조혁신 및 혁신 인재양성 기능 구축 추진
• 우선 경기북부 특화형 스마트제조혁신센터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제조혁신 인재양성을 추진함
•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배출된 전문인력은 양주테크노밸리의 혁신창업 또는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양주, 고양 등의 경기북부 테크노밸리를 경기도 혁신클러스터로 지정하고 체계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함
• 경기도는 2015년 <경기도혁신클러스터 육성 및 지원조례>를 제정⋅시행하고 있으나 관련 계획 수립 및 사업을 시행하고 있지 못한 상태
• 경기북부 테크노밸리(고양, 양주 등)의 경우 동 조례를 근거로 지원의 법⋅제도적 환경을 정비할 필요가 있음
■ 수도권 차원의 산업집적도 분석 결과, 경기북부에 첨단산업 고도집적지역은 거의 발전되지 못했으며 섬유, 가구 등 전통 제조부문에서 집적지역 형성
■ 경기북부지역 기업의 거래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경기북부에는 우리나라 성장을 이끌었던 전자 및 반도체, 자동차산업의 기업네트워크에 속한 기업이 거의 없음
• 경기북부의 핵심적인 기업네트워크는 ‘유통업’과 ‘건설업’과 관련됨
• 경기북부 기업들은 주로 이마트와 같은 대형유통업에 납품하는 업체들(생활소비재제조업)이 핵심을 이룸
❚ 양주테크노밸리 및 경기북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 양주테크노밸리 활성화를 위해 산업인프라 선제적 구축 필요
• 경기북부 테크노밸리는 기업입지 수요가 충분한 조건 하에서 추진되는 것이 아니라 낙후된 경기북부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사업이라는 정책적 합의의 산물
• 산업기반 시설에 대한 선제 투자는 테크노밸리 기업유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 양주테크노밸리는 경기북부 특화산업인 섬유, 가구 등 생활소비재산업의 고도화 거점으로 위상을 설정함
• 양주테크노밸리 입지 여건을 분석한 결과, 정보서비스업 등 고차서비스업 발전 가능성은 단기적으로는 낮으며, 경기북부의 핵심업종인 생활소비재제품과 관련된 혁신형 중소기업 집적지 조성이 필요함
• 양주테크노밸리는 경기북부 주요 제조업 집적지와의 지리적 접근성이 양호하고, 수도권 전문인력 활용 가능성이 높아 제조 융복합 혁신에 유리한 여건을 지님
■ 양주테크노밸리 활성화의 핵심기반으로써 스마트제조혁신 및 혁신 인재양성 기능 구축 추진
• 우선 경기북부 특화형 스마트제조혁신센터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제조혁신 인재양성을 추진함
•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배출된 전문인력은 양주테크노밸리의 혁신창업 또는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양주, 고양 등의 경기북부 테크노밸리를 경기도 혁신클러스터로 지정하고 체계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함
• 경기도는 2015년 <경기도혁신클러스터 육성 및 지원조례>를 제정⋅시행하고 있으나 관련 계획 수립 및 사업을 시행하고 있지 못한 상태
• 경기북부 테크노밸리(고양, 양주 등)의 경우 동 조례를 근거로 지원의 법⋅제도적 환경을 정비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