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코로나19에 따른 경기도 스타트업 지원방안 | |||
---|---|---|---|---|
저자 | 성영조 프로필 | 과제분류 | 정책BRIEF연구 | |
발행월 | 2020-10 | 보고서번호 | 2020-22 | |
판매유무 | 비매 | 원문 | ||
국문요약 | 외국어 요약 | |||
보도자료 | HWP | 인포그래픽스 |
코로나19는 기술기반 기업인 스타트업에도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스타트업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혁신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 필요
○ 경기도 스타트업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84%가 코로나19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 기술기반 기업인 스타트업에 대해서도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
○ 코로나19로 겪는 어려움으로는 ‘수요 감소(고객 감소)로 인한 매출 감소’, ‘대면활동 제약으로 마케팅 위축’, ‘글로벌 진출 계획의 연기⋅취소 및 해외파트너와의 교류 제약’ 등임
○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경기도 및 정부에서 지원해야 할 요소로 ‘긴급 운영자금 지원’을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다음으로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기존 지원사업 확대’로 나타남
스타트업의 성장 단계별로 지원방안을 마련하여 정책 효율성을 제고 할 필요가 있음
○ 창업 단계 : 스타트업의 운영자금 지원을 통한 일시적 어려움 극복 지원, 코로나19에 따른 신규 비즈니스에 대한 지원 강화, 크라우드펀딩 지원 확대
○ 성장 단계 : 코로나19 극복 전략 수립을 위한 지원 확대, 온라인 투자유치 IR 기회 확대, 기존 비즈니스모델과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업전환(Business Pivoting) 지원
○ 글로벌 진출 단계 : 해외 현지 핵심기업 투자자와 네트워킹 기회 제공, 온라인 글로벌 진출 액셀러레이팅 지원 확대, 비대면 온라인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 마련
○ 회수(Exit) 단계 : 스타트업 인수 희망 기업들과의 네트워킹 기회 제공, M&A 추진을 위한 전문서비스 연결 및 지원, 스타트업 대상으로 M&A 교육 및 자문 지원
코로나19는 새로운 산업·비즈니스 수요를 만들기 때문에 기회로 작용할 수 있음
○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연계 서비스(홈코노미, 온라인 교육 등) 산업의 확대, 환경 변화로 인한 신규 비즈니스 출현으로 스타트업에는 기회가 될 수 있음
○ 비대면 기반 기술(컴퓨팅, 클라우드, 플랫폼 등), 의료(진단키트, 원격의료 등), 온라인 플랫폼 등의 활성화가 예상되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
○ 경기도 스타트업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84%가 코로나19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 기술기반 기업인 스타트업에 대해서도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
○ 코로나19로 겪는 어려움으로는 ‘수요 감소(고객 감소)로 인한 매출 감소’, ‘대면활동 제약으로 마케팅 위축’, ‘글로벌 진출 계획의 연기⋅취소 및 해외파트너와의 교류 제약’ 등임
○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경기도 및 정부에서 지원해야 할 요소로 ‘긴급 운영자금 지원’을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다음으로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기존 지원사업 확대’로 나타남
스타트업의 성장 단계별로 지원방안을 마련하여 정책 효율성을 제고 할 필요가 있음
○ 창업 단계 : 스타트업의 운영자금 지원을 통한 일시적 어려움 극복 지원, 코로나19에 따른 신규 비즈니스에 대한 지원 강화, 크라우드펀딩 지원 확대
○ 성장 단계 : 코로나19 극복 전략 수립을 위한 지원 확대, 온라인 투자유치 IR 기회 확대, 기존 비즈니스모델과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업전환(Business Pivoting) 지원
○ 글로벌 진출 단계 : 해외 현지 핵심기업 투자자와 네트워킹 기회 제공, 온라인 글로벌 진출 액셀러레이팅 지원 확대, 비대면 온라인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 마련
○ 회수(Exit) 단계 : 스타트업 인수 희망 기업들과의 네트워킹 기회 제공, M&A 추진을 위한 전문서비스 연결 및 지원, 스타트업 대상으로 M&A 교육 및 자문 지원
코로나19는 새로운 산업·비즈니스 수요를 만들기 때문에 기회로 작용할 수 있음
○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연계 서비스(홈코노미, 온라인 교육 등) 산업의 확대, 환경 변화로 인한 신규 비즈니스 출현으로 스타트업에는 기회가 될 수 있음
○ 비대면 기반 기술(컴퓨팅, 클라우드, 플랫폼 등), 의료(진단키트, 원격의료 등), 온라인 플랫폼 등의 활성화가 예상되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