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경기도 전략산업 육성방안 연구(Ⅱ) | |||
---|---|---|---|---|
저자 | 이상훈, 김군수,문미성,신기동,성영조,배영임,이유진,김영롱,정대영 | 과제분류 | 전략정책연구 | |
발행월 | 2020-11 | 보고서번호 | 2020-61 | |
원문 | 국문요약 | |||
보도자료 | 외국어 요약 | English | ||
인포그래픽스 |
□ 경기도 전략산업 육성방안 연구를 통해 경기도 지역경제 활성화 및 고부가가치 일자리 창출에 기여
○ 경기도의 전략산업을 글로벌 산업, 미래 성장동력 산업, 지식기반서비스 산업, 지역기반 산업으로 분류하여 선정하고, 발전여건과 잠재력을 분석한 후, 산업발전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고, 각 산업별로 발전방안을 제시
□ 경기도 전략산업은 4개 분야 10개 산업으로 선정
○ 글로벌 산업 : 반도체 산업, 미래 자동차
○ 미래 성장동력산업 : 방송⋅통신⋅영상, 데이터 산업, 바이오 산업
○ 지식기반서비스 산업 : ICT, 전시컨벤션산업
○ 지역기반산업 : 섬유산업, 가구산업, 뷰티산업
□ 경기도 산업구조 전망
○ 지역경제의 서비스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경기도의 제조업 비중은 2025년 59%에서 2040년 62%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서비스업의 경우 절대적인 생산액은 증가하나, 전체 산업에서의 생산액 기준 비중은 2025년 36%에서 2040년 34%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
○ 건설업의 경우 2025년 4%의 비중에서 2040년 3%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
○ 농림어업의 경우 2025년 1%에서 2040년 1%로 전망되어 낮은 비율에도 불구하고 경기도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
□ 경기도 전략산업 육성 목표 및 방향
○ 경기도 전략산업의 발전목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수준의 기술혁신 첨단산업 육성” 으로 설정
○ 경기도 전략산업 육성목표 실현을 위한 주요 방향 : 첫째,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산업의 클러스터 육성. 둘째, 친환경 및 에너지 절약형 산업생태계 조성. 셋째, 지역 연고산업의 대내외 경쟁력 강화
○ 경기도의 전략산업을 글로벌 산업, 미래 성장동력 산업, 지식기반서비스 산업, 지역기반 산업으로 분류하여 선정하고, 발전여건과 잠재력을 분석한 후, 산업발전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고, 각 산업별로 발전방안을 제시
□ 경기도 전략산업은 4개 분야 10개 산업으로 선정
○ 글로벌 산업 : 반도체 산업, 미래 자동차
○ 미래 성장동력산업 : 방송⋅통신⋅영상, 데이터 산업, 바이오 산업
○ 지식기반서비스 산업 : ICT, 전시컨벤션산업
○ 지역기반산업 : 섬유산업, 가구산업, 뷰티산업
□ 경기도 산업구조 전망
○ 지역경제의 서비스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경기도의 제조업 비중은 2025년 59%에서 2040년 62%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서비스업의 경우 절대적인 생산액은 증가하나, 전체 산업에서의 생산액 기준 비중은 2025년 36%에서 2040년 34%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
○ 건설업의 경우 2025년 4%의 비중에서 2040년 3%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
○ 농림어업의 경우 2025년 1%에서 2040년 1%로 전망되어 낮은 비율에도 불구하고 경기도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
□ 경기도 전략산업 육성 목표 및 방향
○ 경기도 전략산업의 발전목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수준의 기술혁신 첨단산업 육성” 으로 설정
○ 경기도 전략산업 육성목표 실현을 위한 주요 방향 : 첫째,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산업의 클러스터 육성. 둘째, 친환경 및 에너지 절약형 산업생태계 조성. 셋째, 지역 연고산업의 대내외 경쟁력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