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경기도 경제 상황 진단 및 정책 시사점 | |||
---|---|---|---|---|
저자 | 김정훈,김용준 연구책임자 프로필 | 과제분류 | 정책BRIEF연구 | |
발행월 | 2020-12 | 보고서번호 | 2020-31 | |
원문 | 국문요약 | |||
보도자료 | 외국어 요약 | |||
인포그래픽스 |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의 장기화에 대비하여, 현재 경기도 경제 현황과 여건을 부문별⋅시군별로 살펴보고 정책 방안을 점검해야 할 시기임
최근 소상공인 매출이 급격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고용도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
○ 경기도 신용카드 가맹점의 매출액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과 중앙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이후 회복세를 보였으나, 최근 코로나19의 빠른 확산과 함께 급속히 감소세를 보임
- 경기도 평균보다 신용카드 매출액 감소율이 9주차 및 44주차에 모두 큰 시군은 과천, 안양, 여주, 파주, 성남, 고양, 부천, 수원, 화성 등 9개 시군임
○ 경기도 취업자 수는 코로나19의 여파로 2020년 4월부터 감소세로 전환한 이후 부진이 지속되고 있으며, 4~11월 동안 전년대비 9만 3천 명이 감소
- 코로나19의 1차 확산 직후인 2020년 상반기에 경기도의 대부분 시군에서 경제활동이 위축되고 고용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2021년에도 민간소비 회복력 저하, 경제부문 간 불균형 심화, 금융불안 요인 증대, 미-중 무역갈등 지속, IT산업 회복 지연 등 경제 회복을 저해하는 리스크가 존재
○ 2021년에도 경제심리 위축이 지속되면서 민간소비가 코로나19 이전 성장경로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어 경기회복의 걸림돌이 될 전망
○ 확장적 거시정책에 따른 유동성 팽창으로 실물부문과 금융부문 간 괴리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융불안정성이 확대될 우려 증대
○ 미국 대통령 당선자인 바이든의 對중국 공평무역 요구 및 리쇼어링 유도 정책으로 인해 미국과 중국 간 무역마찰이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
보건방역 강화와 함께 경제불안 요인의 사전 차단이 필요하며, 경기 악화 시 보편적 재난지원금 지급 등을 통해 긴급 대응하고 내실 있는 뉴딜정책을 추진
○ 확진자 수 증가와 소비 및 고용 간 뚜렷한 역관계가 있으므로, 방역 강화를 통한 코로나19 확산방지가 경제 활성화의 전제 조건
○ 최근 소상공인의 상황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어 경제 선순환을 통한 경기회복을 위해서는 1차 재난지원금 지급과 같은 보편적 정책기조를 유지할 필요
최근 소상공인 매출이 급격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고용도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
○ 경기도 신용카드 가맹점의 매출액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과 중앙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이후 회복세를 보였으나, 최근 코로나19의 빠른 확산과 함께 급속히 감소세를 보임
- 경기도 평균보다 신용카드 매출액 감소율이 9주차 및 44주차에 모두 큰 시군은 과천, 안양, 여주, 파주, 성남, 고양, 부천, 수원, 화성 등 9개 시군임
○ 경기도 취업자 수는 코로나19의 여파로 2020년 4월부터 감소세로 전환한 이후 부진이 지속되고 있으며, 4~11월 동안 전년대비 9만 3천 명이 감소
- 코로나19의 1차 확산 직후인 2020년 상반기에 경기도의 대부분 시군에서 경제활동이 위축되고 고용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2021년에도 민간소비 회복력 저하, 경제부문 간 불균형 심화, 금융불안 요인 증대, 미-중 무역갈등 지속, IT산업 회복 지연 등 경제 회복을 저해하는 리스크가 존재
○ 2021년에도 경제심리 위축이 지속되면서 민간소비가 코로나19 이전 성장경로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어 경기회복의 걸림돌이 될 전망
○ 확장적 거시정책에 따른 유동성 팽창으로 실물부문과 금융부문 간 괴리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융불안정성이 확대될 우려 증대
○ 미국 대통령 당선자인 바이든의 對중국 공평무역 요구 및 리쇼어링 유도 정책으로 인해 미국과 중국 간 무역마찰이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
보건방역 강화와 함께 경제불안 요인의 사전 차단이 필요하며, 경기 악화 시 보편적 재난지원금 지급 등을 통해 긴급 대응하고 내실 있는 뉴딜정책을 추진
○ 확진자 수 증가와 소비 및 고용 간 뚜렷한 역관계가 있으므로, 방역 강화를 통한 코로나19 확산방지가 경제 활성화의 전제 조건
○ 최근 소상공인의 상황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어 경제 선순환을 통한 경기회복을 위해서는 1차 재난지원금 지급과 같은 보편적 정책기조를 유지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