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경기도민의 세대별 여가활동 특성 분석 | |||
---|---|---|---|---|
저자 | 정대영 연구책임자 프로필 | 과제분류 | 정책BRIEF연구 | |
발행월 | 2021-10 | 보고서번호 | 2021-11 | |
원문 | 국문요약 | |||
보도자료 | HWP | 외국어 요약 | ||
인포그래픽스 |
▢ 여가 트렌드를 주도하는 MZ세대의 여가활동 특성 변화 모니터링과 심층 분석 추진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지칭하는 MZ세대는 공통적으로 소비트렌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빠르게 적응하는 성향이 있으나 여가활동에 대해서는 다른 가치관을 형성
○ 여가활동 관련 빅데이터(SNS, 신용카드, 이동데이터 등)를 토대로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행태 변화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정책반영 필요
▢ 레저관광 활동을 선호하는 세대별 특성을 고려하여 ‘(가칭)레저특화지구’ 육성
○ 밀레니얼 세대와 X세대는 스포츠 참여 및 관광활동을 통한 여가만족이 높은 세대 집단
○ 최근 패러글라이딩, 요트, 서핑 등 야외 레저관광 활동을 경험하기 원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이를 충족하기 위한 거점 공간 조성 필요
○ 산, 계곡, 바다 등을 대상으로 레저관광 거점을 조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주변 관광지, 숙박시설 등 인프라와 연계한 ‘(가칭)레저특화지구’를 지정하여 육성(예: 해양레저특화지구)
▢ 생애주기별 생활체육 활동 참여 여건을 반영한 세대별 스포츠클럽 모델 구축
○ 각 세대 간 여가시간, 건강상태, 선호종목 등이 상이하므로, 세대별로 생활체육 활동 참여 여건에 맞는 스포츠클럽 모델 구축 필요
○ 세대별 맞춤형 스포츠클럽은 각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강습프로그램을 통해 누구나 스포츠를 배우고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국민건강 증진에 지속적으로 기여
▢ 세대 간 문화 향유 격차 완화를 위해 세대별 인구밀도 분포를 반영한 문화시설 공급
○ 문화예술 활동 경험률에 의해 나타나는 세대 간 문화 향유 격차는 세대별로 선호하는 문화시설 공급을 통해 완화 가능하므로 문화시설 공급 계획 시 세대별 인구밀도 분포를 고려
○ 또한, 문화시설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세대가 집중된 지역에 복합문화시설 우선 공급 추진
▢ 시니어 세대 맞춤형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여가시설 내 무장애 환경 조성
○ 시니어 세대가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문인력 양성 지원과 ‘고령친화 여가산업’ 육성 및 연계 필요
○ 건강상 문제로 거동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여가시설 내 무장애 환경 조성 추진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지칭하는 MZ세대는 공통적으로 소비트렌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빠르게 적응하는 성향이 있으나 여가활동에 대해서는 다른 가치관을 형성
○ 여가활동 관련 빅데이터(SNS, 신용카드, 이동데이터 등)를 토대로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행태 변화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정책반영 필요
▢ 레저관광 활동을 선호하는 세대별 특성을 고려하여 ‘(가칭)레저특화지구’ 육성
○ 밀레니얼 세대와 X세대는 스포츠 참여 및 관광활동을 통한 여가만족이 높은 세대 집단
○ 최근 패러글라이딩, 요트, 서핑 등 야외 레저관광 활동을 경험하기 원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이를 충족하기 위한 거점 공간 조성 필요
○ 산, 계곡, 바다 등을 대상으로 레저관광 거점을 조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주변 관광지, 숙박시설 등 인프라와 연계한 ‘(가칭)레저특화지구’를 지정하여 육성(예: 해양레저특화지구)
▢ 생애주기별 생활체육 활동 참여 여건을 반영한 세대별 스포츠클럽 모델 구축
○ 각 세대 간 여가시간, 건강상태, 선호종목 등이 상이하므로, 세대별로 생활체육 활동 참여 여건에 맞는 스포츠클럽 모델 구축 필요
○ 세대별 맞춤형 스포츠클럽은 각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강습프로그램을 통해 누구나 스포츠를 배우고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국민건강 증진에 지속적으로 기여
▢ 세대 간 문화 향유 격차 완화를 위해 세대별 인구밀도 분포를 반영한 문화시설 공급
○ 문화예술 활동 경험률에 의해 나타나는 세대 간 문화 향유 격차는 세대별로 선호하는 문화시설 공급을 통해 완화 가능하므로 문화시설 공급 계획 시 세대별 인구밀도 분포를 고려
○ 또한, 문화시설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세대가 집중된 지역에 복합문화시설 우선 공급 추진
▢ 시니어 세대 맞춤형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여가시설 내 무장애 환경 조성
○ 시니어 세대가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문인력 양성 지원과 ‘고령친화 여가산업’ 육성 및 연계 필요
○ 건강상 문제로 거동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여가시설 내 무장애 환경 조성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