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경기도 수소버스 도입 여건 조사 | |||
---|---|---|---|---|
저자 | 김점산 프로필 | 과제분류 | 정책BRIEF연구 | |
발행월 | 2019-08 | 보고서번호 | 2019-07 | |
판매유무 | 비매 | 원문 | ||
국문요약 | HWP | 외국어 요약 | ||
보도자료 | HWP | 인포그래픽스 |
정부는 수소경제활성화 로드맵으로 2022년까지 수소버스 2,000대 보급을 계획하고, 버스운송사업자도 수용적이나 정부정책의 혼선엔 불만
○ 정부는 수소경제를 3대 전략투자 분야로 선정하고, 금년 초“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 수소차와 연료전지로 수소경제 선진국 도약 계획
○ 국토부는 수소차 보급을 수소버스로 확대하고, 2022년까지 수소버스 2,000대 보급 계획이나, 현재까지 울산시와 서울시 시범노선 각 1대, 창원시 2개 노선 3대 운영 수준
○ 버스운송사업자의 수소버스 도입의사는 78.7%, 도입 취지 및 필요성은 90.2%가 긍정적 응답, 다만 이는 전기버스의 83.9%, 95.2%보다 낮으며, 전기버스와 수소버스의 정책 혼선에 불만
버스운송사업자는 수소버스 기대편익으로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 제고, 유류비 절감, 장애요인으로 초기 투자비 과대, 차량 운영상의 제약 제시
○ 수소버스 기대편익 우선순위는 ①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 제고, ② 유류비 절감, ③ 승객 편의 증진(매연 감소, 소음 감소 등) 순으로 산정
○ 수소버스 도입 장애 요인으로 회사내부요인 순위는 ① 초기 투자비 과대, ② 차량 운영상의 제약, ③ 차량 등 관련 기술의 시기상조 순으로 산정
○ 수소버스 도입 장애요인으로 정부정책요인 순위는 ① 정부의 정책 일관성 부족, ② 정부정책의 지속 불확실성, ③ 초기 정책 지원 부족 순으로 산정
버스운송사업자의 수소버스 도입 시기는 대다수가 민선7기 이후로 예상하며, 경기도 는 본격적 도입을 위한 장애요인 해소, 수소버스 표준모델 개발 필요
○ 수소버스 최초 도입 가능년도(여건개선 전제)는 전체 업체 중 19개 업체 31.1%가 4년 내로 응답, 이는 전기버스 44개 업체, 71.0%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
○ 경기도는 수소버스의 차량가격과 운행비용을 낮추기 위한 공동구매, 연료보조금 유지, 충전소 설치보조금, 공영차고지 추가 확보, 가스개질기 규모화 및 액화트럭트레일러 도입, 수소파이프라인 설치 지원 추진
○ 또한 버스운송사업자의 요구(1회 충전 운행거리, 충전시간, 고장률, 주요부품의 보증기간 등)를 반영하여 수소버스 표준모델을 개발, 보조금 지급 기준으로 활용, 차량 제조사 기술개발 유인
○ 정부는 수소경제를 3대 전략투자 분야로 선정하고, 금년 초“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 수소차와 연료전지로 수소경제 선진국 도약 계획
○ 국토부는 수소차 보급을 수소버스로 확대하고, 2022년까지 수소버스 2,000대 보급 계획이나, 현재까지 울산시와 서울시 시범노선 각 1대, 창원시 2개 노선 3대 운영 수준
○ 버스운송사업자의 수소버스 도입의사는 78.7%, 도입 취지 및 필요성은 90.2%가 긍정적 응답, 다만 이는 전기버스의 83.9%, 95.2%보다 낮으며, 전기버스와 수소버스의 정책 혼선에 불만
버스운송사업자는 수소버스 기대편익으로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 제고, 유류비 절감, 장애요인으로 초기 투자비 과대, 차량 운영상의 제약 제시
○ 수소버스 기대편익 우선순위는 ①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 제고, ② 유류비 절감, ③ 승객 편의 증진(매연 감소, 소음 감소 등) 순으로 산정
○ 수소버스 도입 장애 요인으로 회사내부요인 순위는 ① 초기 투자비 과대, ② 차량 운영상의 제약, ③ 차량 등 관련 기술의 시기상조 순으로 산정
○ 수소버스 도입 장애요인으로 정부정책요인 순위는 ① 정부의 정책 일관성 부족, ② 정부정책의 지속 불확실성, ③ 초기 정책 지원 부족 순으로 산정
버스운송사업자의 수소버스 도입 시기는 대다수가 민선7기 이후로 예상하며, 경기도 는 본격적 도입을 위한 장애요인 해소, 수소버스 표준모델 개발 필요
○ 수소버스 최초 도입 가능년도(여건개선 전제)는 전체 업체 중 19개 업체 31.1%가 4년 내로 응답, 이는 전기버스 44개 업체, 71.0%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
○ 경기도는 수소버스의 차량가격과 운행비용을 낮추기 위한 공동구매, 연료보조금 유지, 충전소 설치보조금, 공영차고지 추가 확보, 가스개질기 규모화 및 액화트럭트레일러 도입, 수소파이프라인 설치 지원 추진
○ 또한 버스운송사업자의 요구(1회 충전 운행거리, 충전시간, 고장률, 주요부품의 보증기간 등)를 반영하여 수소버스 표준모델을 개발, 보조금 지급 기준으로 활용, 차량 제조사 기술개발 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