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경기도 로컬푸드 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 |||
---|---|---|---|---|
저자 | 김용준,박정지,이수행 | 과제분류 | 정책BRIEF연구 | |
발행월 | 2020-11 | 보고서번호 | 2020-24 | |
원문 | 국문요약 | |||
보도자료 | HWP | 외국어 요약 | ||
인포그래픽스 |
경기도형 로컬푸드 사업 활성화 방안 모색의 필요성
○ 로컬푸드 사업의 본래 취지 및 질 하락을 개선하고, 경기도형 로컬푸드 시스템의 목표를 명시한 사업 활성화 방안 마련이 필요
- 로컬푸드 사업을 생산자와 소비자의 유대가 형성되는 공간으로 확장하고, 사회적⋅환경적⋅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 경기도형 로컬푸드 사업추진이 필요
로컬푸드 사업은 사회⋅환경⋅경제부문에서 다원적인 가치를 창출
○ 로컬푸드 사업은 농업소득 증대 및 연관산업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효과와 지역 공동체 활성화, 안전한 먹거리 생산 등 지역의 사회 및 환경부문에서 다원적인 가치를 창출
- 로컬푸드 사업 활성화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와 함께 시장에서 측정하기 어려운 사회⋅환경부문에서의 다원적인 가치는 로컬푸드 사업 추진의 타당성을 제공
지속가능한 경기도형 로컬푸드 사업 활성화 방안 및 추진과제 제안
○ 경기도 로컬푸드 사업 활성화를 통한 다원적 가치 확산의 비전과 관련한 미션을 제안
- 로컬푸드 공급망을 구성하는 이해당사자들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공동체 활성화 및 지역재생의 가치 등 로컬푸드의 다원적 가치를 확산하는 내용의 비전 수립을 제안
- 신선⋅안전 먹거리 보장, 지역경제 활성화, 로컬푸드 사업 인식전환 등의 미션 마련을 제안
○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3대 추진과제 제안과 8대 세부시행과제와의 연계 추진
- 로컬푸드 사업운영의 다변화를 위한 사업효과개선의 과제, 이해당사자 역량 강화 실현을 위한 지역활력과제, 로컬푸드 가치 홍보와 로컬푸드 인식개선의 과제 등을 제안
- 중앙정부의 로컬푸드 정책 및 경기도의 로컬푸드 사업 현황을 고려하여, 각각의 추진과제를 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도록 8개의 세부시행과제를 마련
○ 지역의 생산자와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 로컬푸드 본연의 가치 유지와 사회적 가치 창출 확대를 기대
- 로컬푸드는 생산 주체인 농민과 지역사회 구성원이 함께하는 지역 자치의 운동으로서 농촌지역 공동체 활성화 등 본연의 가치 유지가 중요
- 로컬푸드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사회적 거리를 단축할 수 있는 물리적 범위로 로컬푸드 사업을 활성화하고, 농업⋅농촌 정책과의 연계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
○ 로컬푸드 사업의 본래 취지 및 질 하락을 개선하고, 경기도형 로컬푸드 시스템의 목표를 명시한 사업 활성화 방안 마련이 필요
- 로컬푸드 사업을 생산자와 소비자의 유대가 형성되는 공간으로 확장하고, 사회적⋅환경적⋅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 경기도형 로컬푸드 사업추진이 필요
로컬푸드 사업은 사회⋅환경⋅경제부문에서 다원적인 가치를 창출
○ 로컬푸드 사업은 농업소득 증대 및 연관산업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효과와 지역 공동체 활성화, 안전한 먹거리 생산 등 지역의 사회 및 환경부문에서 다원적인 가치를 창출
- 로컬푸드 사업 활성화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와 함께 시장에서 측정하기 어려운 사회⋅환경부문에서의 다원적인 가치는 로컬푸드 사업 추진의 타당성을 제공
지속가능한 경기도형 로컬푸드 사업 활성화 방안 및 추진과제 제안
○ 경기도 로컬푸드 사업 활성화를 통한 다원적 가치 확산의 비전과 관련한 미션을 제안
- 로컬푸드 공급망을 구성하는 이해당사자들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공동체 활성화 및 지역재생의 가치 등 로컬푸드의 다원적 가치를 확산하는 내용의 비전 수립을 제안
- 신선⋅안전 먹거리 보장, 지역경제 활성화, 로컬푸드 사업 인식전환 등의 미션 마련을 제안
○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3대 추진과제 제안과 8대 세부시행과제와의 연계 추진
- 로컬푸드 사업운영의 다변화를 위한 사업효과개선의 과제, 이해당사자 역량 강화 실현을 위한 지역활력과제, 로컬푸드 가치 홍보와 로컬푸드 인식개선의 과제 등을 제안
- 중앙정부의 로컬푸드 정책 및 경기도의 로컬푸드 사업 현황을 고려하여, 각각의 추진과제를 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도록 8개의 세부시행과제를 마련
○ 지역의 생산자와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 로컬푸드 본연의 가치 유지와 사회적 가치 창출 확대를 기대
- 로컬푸드는 생산 주체인 농민과 지역사회 구성원이 함께하는 지역 자치의 운동으로서 농촌지역 공동체 활성화 등 본연의 가치 유지가 중요
- 로컬푸드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사회적 거리를 단축할 수 있는 물리적 범위로 로컬푸드 사업을 활성화하고, 농업⋅농촌 정책과의 연계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