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드론을 활용한 방제·방역체계 지원방안 | |||
---|---|---|---|---|
저자 | 옥진아,정효진 프로필 | 과제분류 | 일반정책연구 | |
발행월 | 2020-10 | 보고서번호 | 2020-37 | |
원문 | 국문요약 | |||
보도자료 | HWP | 외국어 요약 | English | |
인포그래픽스 |
□ 드론은 농업 분야 방제 관리와 가축 질병 확산과 피해를 막기 위한 지역방역 관리의 새로운 대응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음
○ 농업 분야에서의 드론 방제는 비행 고도가 낮아 인근 농업 농가의 비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정밀 방제로 약효 최대화가 가능하여, 저비용 고효율이라는 장점이 있으며, 최근 저렴한 가격의 장치 개발을 통해 농가의 노동력 부재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농약으로 인한 중독 피해 최소화 등의 효과가 기대되고 있음
○ 농업 현장에 드론을 활용한 농약 살포, 영상 촬영 등 일부 기술은 적용되고 있으나, 본격적으로 활용되려면 연관 분야 통합을 통한 임무 수행의 자동화 방안 및 임무 수행의 정확성 확보와 작업효율과 방제 효과 극대화를 위해 지역 단위 방제체계가 필요
○ 가축질병 예방을 위한 방역에서도 기존 방역 방법으로는 인력 및 장비 차량탑재 후 이동에 의한 방역 방법이 있으나, 대단위 면적에 대한 투입인력, 장비, 시간, 비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기술 개발을 통한 새로운 방역체계가 필요
○ 드론을 활용한 소독 방역 방법은 기존 방역 방법과 기술적 차별성을 통해서, 현재 시장에서 점차 진행되고 있는 추세로, 위험하거나 접근이 어려운 장소의 방역을 드론을 활용하여 각종 방제 작업을 수행하여 저비용으로 방역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방제 현장에 대한 관제를 통해 방제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드론 방제·방역 추진을 위한 부서간의 협력 체계 및 단계별 추진 전략이 필요
○ 드론 방제·방역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제·방역업무 및 스마트 드론영상방역시스템 운영은 별도의 조직 구성을 통해서 추진할 필요가 있음
○ (1단계 실증사업과 법·제도 개선) 1차적으로는 토지정보과와 농업 방제 담당 부서와 가축질병 전담부서 등 관련 실무부서와의 협력 체계를 통해서 기존 방제·방역 문제를 보완하여 대체 활용할 수 있는 드론 방제·방역 대상을 검토하여 실증사업 추진
○ (2단계 시스템 도입) 1단계 추진 과제를 통해서 드론 방제·방역의 기반을 마련한 후, 스마트 드론영상관제시스템 도입하여, 방제·방역 분야에서의 드론 활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
□ 드론 방제·방역을 위한 운영 매뉴얼과 법제도 개선을 통한 지원체계 마련
○ (드론 방제·방역 운영 매뉴얼 마련) 기초적인 드론운영프로세스에 입각한 안전한 드론 활용 여건 조성을 위해, 드론 방제·방역사업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드론운영프로세스 정립을 통해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운영 매뉴얼 마련
○ (법·제도 개선 필요) 드론 방역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스템에 대한 검증과 최신 기술 검증, 법제도 개선사항으로 규제 완화 및 기준 제시를 위한 관련 조직과 협의 및 규제 개선사항을 도출
○ (실증사업 추진) 드론 방역 시스템 및 방역효과 검증을 위한 실증사업 추진을 통해 드론 방제·방역 지원 사업을 단계별로 확대
○ (드론 방제·방역 교육프로그램 운영) 경기도 차원에서 지역사회의 방제, 방역을 지원할 수 있는 드론 방역 전문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 운영
□ 드론을 활용한 농업 방제 및 가축전염병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스마트 드론 방역시스템을 도입하여, 방제 및 방역 업무를 체계적으로 지원
○ 경기도 측면에서 보면, 드론을 활용하여 각종 방제·방역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3차원 GCS(Ground Control System)를 기반으로 한 다중/멀티 드론의 방제를 위한 시스템 도입이 필요
○ 드론 활용한 소독방역 임무시스템과 GCS기반으로 한 다중드론 운영 플랫폼 개발 기술을 접목하여, 임무 수행의 사업화 가능성을 확인하고, 운영플랫폼의 안정성을 확보
○ 드론영상관제시스템은 드론 임무 비행 전 사전 시뮬레이션 통한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 후 실시간 제어 및 통제할 수 있는 드론 통합 시스템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각종 동물 질병 발생시 신속한 대응 방역, 빅데이터 기반 효율적 계획 방역,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포괄 방역, 저비용의 대량 동시 살포 등을 지원 가능해야 함
○ 농업 분야에서의 드론 방제는 비행 고도가 낮아 인근 농업 농가의 비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정밀 방제로 약효 최대화가 가능하여, 저비용 고효율이라는 장점이 있으며, 최근 저렴한 가격의 장치 개발을 통해 농가의 노동력 부재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농약으로 인한 중독 피해 최소화 등의 효과가 기대되고 있음
○ 농업 현장에 드론을 활용한 농약 살포, 영상 촬영 등 일부 기술은 적용되고 있으나, 본격적으로 활용되려면 연관 분야 통합을 통한 임무 수행의 자동화 방안 및 임무 수행의 정확성 확보와 작업효율과 방제 효과 극대화를 위해 지역 단위 방제체계가 필요
○ 가축질병 예방을 위한 방역에서도 기존 방역 방법으로는 인력 및 장비 차량탑재 후 이동에 의한 방역 방법이 있으나, 대단위 면적에 대한 투입인력, 장비, 시간, 비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기술 개발을 통한 새로운 방역체계가 필요
○ 드론을 활용한 소독 방역 방법은 기존 방역 방법과 기술적 차별성을 통해서, 현재 시장에서 점차 진행되고 있는 추세로, 위험하거나 접근이 어려운 장소의 방역을 드론을 활용하여 각종 방제 작업을 수행하여 저비용으로 방역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방제 현장에 대한 관제를 통해 방제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드론 방제·방역 추진을 위한 부서간의 협력 체계 및 단계별 추진 전략이 필요
○ 드론 방제·방역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제·방역업무 및 스마트 드론영상방역시스템 운영은 별도의 조직 구성을 통해서 추진할 필요가 있음
○ (1단계 실증사업과 법·제도 개선) 1차적으로는 토지정보과와 농업 방제 담당 부서와 가축질병 전담부서 등 관련 실무부서와의 협력 체계를 통해서 기존 방제·방역 문제를 보완하여 대체 활용할 수 있는 드론 방제·방역 대상을 검토하여 실증사업 추진
○ (2단계 시스템 도입) 1단계 추진 과제를 통해서 드론 방제·방역의 기반을 마련한 후, 스마트 드론영상관제시스템 도입하여, 방제·방역 분야에서의 드론 활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
□ 드론 방제·방역을 위한 운영 매뉴얼과 법제도 개선을 통한 지원체계 마련
○ (드론 방제·방역 운영 매뉴얼 마련) 기초적인 드론운영프로세스에 입각한 안전한 드론 활용 여건 조성을 위해, 드론 방제·방역사업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드론운영프로세스 정립을 통해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운영 매뉴얼 마련
○ (법·제도 개선 필요) 드론 방역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스템에 대한 검증과 최신 기술 검증, 법제도 개선사항으로 규제 완화 및 기준 제시를 위한 관련 조직과 협의 및 규제 개선사항을 도출
○ (실증사업 추진) 드론 방역 시스템 및 방역효과 검증을 위한 실증사업 추진을 통해 드론 방제·방역 지원 사업을 단계별로 확대
○ (드론 방제·방역 교육프로그램 운영) 경기도 차원에서 지역사회의 방제, 방역을 지원할 수 있는 드론 방역 전문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 운영
□ 드론을 활용한 농업 방제 및 가축전염병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스마트 드론 방역시스템을 도입하여, 방제 및 방역 업무를 체계적으로 지원
○ 경기도 측면에서 보면, 드론을 활용하여 각종 방제·방역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3차원 GCS(Ground Control System)를 기반으로 한 다중/멀티 드론의 방제를 위한 시스템 도입이 필요
○ 드론 활용한 소독방역 임무시스템과 GCS기반으로 한 다중드론 운영 플랫폼 개발 기술을 접목하여, 임무 수행의 사업화 가능성을 확인하고, 운영플랫폼의 안정성을 확보
○ 드론영상관제시스템은 드론 임무 비행 전 사전 시뮬레이션 통한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 후 실시간 제어 및 통제할 수 있는 드론 통합 시스템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각종 동물 질병 발생시 신속한 대응 방역, 빅데이터 기반 효율적 계획 방역,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포괄 방역, 저비용의 대량 동시 살포 등을 지원 가능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