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경기도 산업단지 혁신방안 : 반월시화산업단지를 중심으로 | |||
---|---|---|---|---|
저자 | 문미성,김은경 프로필 | 과제분류 | 일반정책연구 | |
발행월 | 2020-07 | 보고서번호 | 2020-05 | |
원문 | 국문요약 | |||
보도자료 | 외국어 요약 | English | ||
인포그래픽스 |
□ 본 연구는 반월시화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한 일자리 창출 및 산업고도화 방안 제시
□ 반월시화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해 ‘생산중심형’으로부터 ‘제조-서비스융합’의 도시형산업단지로의 재편 및 전환 필요
○ 현행 대량생산기반 제조업 중심 산업구조로는 반월시화산단의 지속 발전 기대 곤란
○ 새로 개정된 <산업단지 입주업종 네거티브 규제> 법령 개정에 맞추어 산업단지내 재생사업지구 등을 대상으로 산업단지 융복합활성화사업 추진
- 과거와는 달리 산업단지 입주가능 업종을 열거하는 방식이 아니라 불허업종을 고시함으로써 산업단지 민간투자사업의 불확실성이 크게 낮아져 사업활성화 기대
□ ‘제조장비(기계산업) 혁신의 허브’로 반월시화산단의 발전 비전 재설정 필요
○ 반월시화산업단지의 기존 발전비전인 ‘부품소재산업’을 차하위 개념으로 설정하고 ‘제조장비산업(기계)’의 정책적 위상 제고 필요
○ 기계산업은 반월시화산단의 최대 고용, 매출 성장이 기대되는 지식집약산업으로써 향후 융복합 도시형산업단지로의 전환에 적합한 업종임
- 제조장비산업은 스마트공장의 보급, 장비산업의 국산화 확대(반도체), 동아시아 국가의 제조업 성장 등에 따라 국내외 시장수요 확대되는 신성장산업
○ 스마트제조혁신을 위한 산업생태계 구축 추진
- 스마트제조혁신센터(테스트베드, 안산)-러닝팩토리(한양대) 등의 기반을 중심으로 스마트공장 수요자-공급자간의 연구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협력네트워크 구축
- 단지내 조성 중인 ‘제조혁신타운’을 중심으로 ‘제조장비 혁신스타트업’ 육성 추진
□ 반월시화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해 ‘생산중심형’으로부터 ‘제조-서비스융합’의 도시형산업단지로의 재편 및 전환 필요
○ 현행 대량생산기반 제조업 중심 산업구조로는 반월시화산단의 지속 발전 기대 곤란
○ 새로 개정된 <산업단지 입주업종 네거티브 규제> 법령 개정에 맞추어 산업단지내 재생사업지구 등을 대상으로 산업단지 융복합활성화사업 추진
- 과거와는 달리 산업단지 입주가능 업종을 열거하는 방식이 아니라 불허업종을 고시함으로써 산업단지 민간투자사업의 불확실성이 크게 낮아져 사업활성화 기대
□ ‘제조장비(기계산업) 혁신의 허브’로 반월시화산단의 발전 비전 재설정 필요
○ 반월시화산업단지의 기존 발전비전인 ‘부품소재산업’을 차하위 개념으로 설정하고 ‘제조장비산업(기계)’의 정책적 위상 제고 필요
○ 기계산업은 반월시화산단의 최대 고용, 매출 성장이 기대되는 지식집약산업으로써 향후 융복합 도시형산업단지로의 전환에 적합한 업종임
- 제조장비산업은 스마트공장의 보급, 장비산업의 국산화 확대(반도체), 동아시아 국가의 제조업 성장 등에 따라 국내외 시장수요 확대되는 신성장산업
○ 스마트제조혁신을 위한 산업생태계 구축 추진
- 스마트제조혁신센터(테스트베드, 안산)-러닝팩토리(한양대) 등의 기반을 중심으로 스마트공장 수요자-공급자간의 연구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협력네트워크 구축
- 단지내 조성 중인 ‘제조혁신타운’을 중심으로 ‘제조장비 혁신스타트업’ 육성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