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명 | 코로나19 경제위기, 끝은 보이고 있는가? | |||
---|---|---|---|---|
저자 | 김태영,이유진 | |||
과제분류 | 이슈&진단 | |||
보고서번호 | 제409호 | |||
발행일 | 2020-04-01 | 보도자료 | HWP | |
원문 | 인포그래픽스 | 보기 |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대유행으로 인해 공급 및 수요부문이 크게 위축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20년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는 요원해지고 있다. OECD, IMF, World Bank 등 주요 국제기관들은 지난 3월 초 전 세계가 경기둔화를 경험할 것으로 전망했으나, 불과 한 달 만에 IMF 총재가 2020년 역성장을 언급하는 등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흔이 깊게 새겨지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피해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주요 금융기관들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시장이 위축됨에 따라 2020년 경제성장률이 -0.6~0.8%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2월 전 산업 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4.9% 증가했으나 전방연쇄효과가 큰 자동차 산업이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매판매 2.3% 감소, 3월 고용률 0.8%p 하락,3월 수출 0.2% 감소, 3월 신규 실업급여 신청자 수 급증 등 코로나19의 여파가 나타나고 있다. 경기도의 2월 광공업 생산과 수출은 반도체 생산 및 수출회복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30.6%, 2.0% 증가했다. 그러나 자동차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9.4% 감소했으며, 코로나19 발생 이후 경기도 내 신용카드 오프라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조 8,503억원 (10.9%) 감소하는 등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 파급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의 충격은 수요 공급 부문에서 동시에 발생했다. 이후 양 부문 간 충격이 상호작용을 통해 심화되고 국제적으로 파급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경제위기 및 스페인 독감의 여파와는 차이를 보인다. 감염병으로 인한 경제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수요 및 공급부문 모두에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경기도는 보편성과 적시성을 지닌 정책기조를 유지하면서, 앞으로는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 자영업자와 실업자 등 취약계층 대상 지원정책의 확대를 통해 효과적으로 피해를 복구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코로나19가 종식되더라도 국내의 경제적 어려움은 계속될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상품 부실화에 의한 금융위기 가능성, 식량 공급망 붕괴, 지정학적 갈등 등 경제위기를 초래할 대외요인들도 아직 남아있다. 따라서 국내 경제회복을 위한 단기적인 정책적 지원을 시행하는 동시에, 앞으로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할 대내외적인 경제적 여파를 검토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코로나19 종식 이후 각 분야의 구조적 변화 점검 및 대응을 위한 분야별 심도 있는 논의 역시 필요하다.
우리나라 역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피해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주요 금융기관들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시장이 위축됨에 따라 2020년 경제성장률이 -0.6~0.8%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2월 전 산업 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4.9% 증가했으나 전방연쇄효과가 큰 자동차 산업이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매판매 2.3% 감소, 3월 고용률 0.8%p 하락,3월 수출 0.2% 감소, 3월 신규 실업급여 신청자 수 급증 등 코로나19의 여파가 나타나고 있다. 경기도의 2월 광공업 생산과 수출은 반도체 생산 및 수출회복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30.6%, 2.0% 증가했다. 그러나 자동차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9.4% 감소했으며, 코로나19 발생 이후 경기도 내 신용카드 오프라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조 8,503억원 (10.9%) 감소하는 등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 파급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의 충격은 수요 공급 부문에서 동시에 발생했다. 이후 양 부문 간 충격이 상호작용을 통해 심화되고 국제적으로 파급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경제위기 및 스페인 독감의 여파와는 차이를 보인다. 감염병으로 인한 경제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수요 및 공급부문 모두에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경기도는 보편성과 적시성을 지닌 정책기조를 유지하면서, 앞으로는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 자영업자와 실업자 등 취약계층 대상 지원정책의 확대를 통해 효과적으로 피해를 복구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코로나19가 종식되더라도 국내의 경제적 어려움은 계속될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상품 부실화에 의한 금융위기 가능성, 식량 공급망 붕괴, 지정학적 갈등 등 경제위기를 초래할 대외요인들도 아직 남아있다. 따라서 국내 경제회복을 위한 단기적인 정책적 지원을 시행하는 동시에, 앞으로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할 대내외적인 경제적 여파를 검토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코로나19 종식 이후 각 분야의 구조적 변화 점검 및 대응을 위한 분야별 심도 있는 논의 역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