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명 | 포스트 코로나19, 뉴노멀 시대의 산업 전략 | |||
---|---|---|---|---|
저자 | 김군수,성영조 | |||
과제분류 | 이슈&진단 | |||
보고서번호 | 제411호 | |||
발행일 | 2020-05-01 | 보도자료 | HWP | |
원문 | 인포그래픽스 | 보기 |
코로나19로 인하여 ‘20년 글로벌 경제성장률은 -3.0%, 한국은 그나마 선방하여 -1.2%로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년 1/4분기, 한국의 수출은 -1.4%로 감소하였다. 무역의존도가 높은 경기도의 수출은 -6.3%로 감소폭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경기도 중소기업의 피해도 크다. ’20년 1/4분기, 중소기업(소재부품 기업 대상)의 60%가 피해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소기업은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전년동분기 대비 국내 매출액이 -9.1%로 감소하고 수출은 -6.3%로 감소, 현금성자산은 -4.3%로 감소하는 등 경영상황이 악화되었다.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경기도 중소기업이 바라는 정책적 지원 사항은 유동성 지원(29.7%)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한국은 전세계 방역 표준모델로 국가브랜드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투명성과 신뢰성 있는 코로나 방역 대응으로 코리아 프리미엄이 생겨나고 한국의 글로벌 첨단기지로서의 가능성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 이후 뉴노멀시대는 비대면(언택트) 비즈니스와 온라인 서비스의 가속 으로 디지털 경제가 촉진될 것이다. 특히 디지털을 기반으로 온라인 유통, 디지털 컨텐츠 산업, AR VR을 활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에듀테크 및 화상회의 관련 산업이 코로나19 이후 뉴노멀시대 신산업으로 급부상할 것이다. 또한, 탈세계화와 제조업 리쇼어링으로 글로벌 가치사슬보다는 자국 가치사슬을 강화하여 안정적인 제조 생태계를 구축하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경제적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경기도는 급속하게 이루어질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 대비한 지원체계 구축과 글로벌 첨단기업의 거점화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 대비하여 소상공인에게는 온라인 판로 개척 지원, 중소기업에게는 스마트워크 투자 확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더 나아가 디지털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 내 데이터 융합단지를 구축하고 스마트도시를 조성하는 것을 검토한다. 둘째 경기도가 첨단산업의 글로벌 거점화가 될 수 있도록 첨단공장, R&D센터, 데이터센터 등의 체계적인 유치 전략 수립과 국내 U턴기업 제도 및 외국인 투자지역 지정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은 전세계 방역 표준모델로 국가브랜드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투명성과 신뢰성 있는 코로나 방역 대응으로 코리아 프리미엄이 생겨나고 한국의 글로벌 첨단기지로서의 가능성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 이후 뉴노멀시대는 비대면(언택트) 비즈니스와 온라인 서비스의 가속 으로 디지털 경제가 촉진될 것이다. 특히 디지털을 기반으로 온라인 유통, 디지털 컨텐츠 산업, AR VR을 활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에듀테크 및 화상회의 관련 산업이 코로나19 이후 뉴노멀시대 신산업으로 급부상할 것이다. 또한, 탈세계화와 제조업 리쇼어링으로 글로벌 가치사슬보다는 자국 가치사슬을 강화하여 안정적인 제조 생태계를 구축하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경제적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경기도는 급속하게 이루어질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 대비한 지원체계 구축과 글로벌 첨단기업의 거점화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 대비하여 소상공인에게는 온라인 판로 개척 지원, 중소기업에게는 스마트워크 투자 확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더 나아가 디지털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 내 데이터 융합단지를 구축하고 스마트도시를 조성하는 것을 검토한다. 둘째 경기도가 첨단산업의 글로벌 거점화가 될 수 있도록 첨단공장, R&D센터, 데이터센터 등의 체계적인 유치 전략 수립과 국내 U턴기업 제도 및 외국인 투자지역 지정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