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
고령인구 및 노인여가복지시설 접근성 분석
|
공공·행정·복지 |
정효진 |
2020.03.30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4/202003/202003300638481406131.pn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4/202003/202003300635071323215.png
이미지
도표
|
2317 |
- 격자통계지도는 기존의 행정경계단위의 거시적 분석에서 격자라는 소지역 단위의 미시적 분석이 가능한 지도이며,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한 자료를 기반으로 함 - 다음 첫 번째 그림에서 사용된 자료는 500m 격자단위의 노인여가복지시설 접근성 지표이며 격자 중심점부터 가장 가까운 시설까지의 도로 이동거리 정보가 활용됨 - 두 번째 그림은 500m 격자단위의 고령인구 수 자료이며, 부천, 수원, 고양시 등에서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 세 번째 그림은 노인복지여가시설로부터 도로이동거리로 5km 이내에 거주하는 고령인구의 비율을 의미함 - 고령인구가 가장 많은 시군은 고양시로 135,855명이고, 고양시의 고령인구는 노인여가복지시설이 5km 이내에 대체로 거주하고 있으며 10km 이내의 접근성을 보임 - 고양시 외에도 수원시, 부천시, 안양시, 의정부시, 광명시, 군포시, 하남시, 구리시, 의왕시, 오산시, 과천시에서는 고령인구가 노인여가복지시설과 10km 이하의 접근성을 보이는 곳에 분포됨 - 특히 부천시는 모든 고령인구가 5km 이내에서 노인여가복지시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접근성 평균은 시군내 격자 값의 평균값을 의미하며 시설의 주 이용자는 고령인구임 - 시군별 접근성 평균이 높은 지역은 가평군(19.96km), 양평군(18.97km), 포천시(18.96km) 순으로 이들 시군은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입지가 주 이용자가 이용하기에 접근성이 어려운 것을 의미함. - 고령인구 수가 10만명이 넘는 고양시, 용인시, 성남시, 수원시, 부천시의 경우 용인시를 제외하고는 모두 접근성 평균이 5km를 넘지않아 시설에 대한 이용 접근성이 양호한 편이지만, 용인시는 접근성 평균이 25km로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다소 ~어짐 - 그 외에도 안산시와 파주시가 고령인구수가 각각 68,440명, 60,920명으로 5만명이 넘지만 노인여가복지시설 접근성은 각각 77km, 16.21km로 10km를 넘는 수치를 보임 - 데이터 출처 : 국토정보플랫폼 국토통계지도 격자통계 (데이터 기준연도 : 2018) ※ 시설 5km 이내 거주 고령인구 비율 = 노인여가복지시설로부터 5km 이내에 거주하는 고령인구 수 ÷ 행정구역 내 거주 인구 수 X 100 ※ 접근성 평균 = 시군별 접근성값(격자값)의 평균 |
12 |
경기도 가구이동 및 인구밀도 변화
|
공공·행정·복지 |
정효진 |
2020.03.02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4/202003/202003020456371253080.pn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4/202003/202003020456371747050.png
이미지
도표
|
2595 |
- ‘경기도 가구이동과 유입가구 특성에 관한 연구(2019, 이외희 외)’에 따르면, 이동은 주로 가구단위로 결정되기 때문에 가구단위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함 -그림은 2010년도와 2018년도 가구이동, 내부이동, 인구밀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가구이동의 경우 1000건 이하는 제외되었음 -표에 따르면, 2010년 남양주시, 고양시 덕양구, 성남시 분당구의 경우 서울에서의 전입과 전출이 모두 많이 일어났으며, 전입이 좀 더 많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음 -2010년 경기도 내에서의 전출입만 살펴보면, 안산시 내의 구간 이동을 제외하고 고양시 일산구(전출)-파주시(전입)이 3,606건으로 가장 많은 가구이동을 보였으며, 의정부시(전출)-양주시(전입), 화성시(전출)-오산시(전입), 구리시(전출)-남양주시(전입) 순으로 뒤따랐음 -2018년 부천시, 남양주시에서 서울에서의 전입과 전출이 모두 많이 일어났으며, 전입이 좀 더 많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음. 특히, 남양주의 경우 -2010년에 비해 이동 건수는 줄었지만 여전히 경기도 내에서는 서울로의 전출입이 많이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냄 -2018년 경기도 내에서의 전출입만 살펴보면, 수원, 안산 내 구간 이동을 제외하고는 화성으로의 전입이 많이 나타남 -인구밀도(인구/면적)의 경우 2010년 부천시 원미구가 20,918.70 으로 가장 높았으며, 부천시 소사구(16,508.84 ), 수원시 팔달구(15,925.95 ), 안양시 동안구(15,236.83 ) 순으로 뒤따랐음 -2018년 인구밀도의 경우 부천시가 13,912.04 으로 가장 높았으며, 안양시 동안구(13,407.38 ), 수원시 팔달구(12,853.68 ), 수원시 영통구(10,205.40 ) 순으로 뒤따랐음 -데이터 출처 : 경기도 가구이동과 유입가구 특성에 관한 연구(2019, 이외희 외, 경기연구원)/통계청 MDIS 인구이동통계, 데이터 기준일자 : 2010,2018/ 통계청 SGIS CENSUS 인구 데이터, 데이터 다운일자 : 2020.01.17. |
11 |
출산율 및 저출산의 원인
|
공공·행정·복지 |
정효진 |
2020.01.21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4/202001/202001210736331928337.png
이미지
|
2704 |
- 2017년, 2018년 경기도에서 출산율이 가장 높은 시군은 연천군으로 각각 590, 1.613로 약간 증가한 추세를 보임 - 가장 낮은 출산율을 보인 시군은 과천시로 2017년 855, 2018년 0.796으로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2017년에는 합계출산율이 1이하인 지역은 총 9개의 지역으로 과천시(0.855), 의왕시(0.912), 의정부시(0.947), 고양시(0.960), 부천시(0.977), 광명시(0.978), 구리시(0.979), 안산시(0.983), 안양시(0.985)였음 - 2018년에는 합계출산율이 1이하인 지역이 14곳으로 증가했으며, 과천시(0.796), 고양시(0.846), 동두천시(0.879), 안산시(0.879), 의왕시(0.885), 부천시(0.896), 의정부시(0.905), 성남시(0.910), 광명시(0.925), 구리시(0.955), 용인시(0.981), 수원시(0.985), 남양주시(0.988), 양평군(0.994)으로 나타남 - 이와 같이 출산율이 낮은 이유에 대해서 경기도 사회조사에서 양육문제, 일자리문제, 일가족양립 문제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됨- 특히 저출산의 원인으로 꼽힌 1순위 원인은 여주시, 과천시를 제외하고 모든 시군에서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인 것으로 나타남 - 2순위 원인은 직장 불안정 또는 일자리 부족 문제이거나 일,가족양립 여건과 환경 미흡에 대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연령별 저출산의 원인에서도 가장 원인으로 꼽히는 것은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10,20대는 직장불안정 또는 일자리부족 문제에 대한 것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30대는 일,가족 양립 여건과 환경 미흡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소득수준별 저출산의 원인을 살펴보면 가장 높은 원인으로 꼽히는 것은 자녀 양육의 부담인 것은 같고, 소득수준이 300만원 이하인 경우엔 직장 불안정 및 일자리 부족 문제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400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일 가족양립 여건과 환경미흡에 대해서 점차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데이터 출처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데이터 다운일자 : 2020.01.17./ 경기통계 경기도사회조사, 데이터 다운일자 : 2020.01.16. -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가임기간(15~29세)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로 연령별 출산율의 총합을 나타내는 지표임(출처 : 통계청) - 합계출산율(가임여성 1명당) = 연령별(15~49세) 출산율 1,000
|
10 |
고등학교 학군 및 학교 정보
|
공공·행정·복지 |
정효진 |
2019.07.24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4/201907/201907240722091886856.pn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4/201907/201907240722091688552.png
이미지
도표
|
4593 |
-경기도의 고등학교 입학절차는 지역에 따라 평준화 또는 비평준화로 구분됨 -평준화 지역의 고등학교는 거주지의 해당 구역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원서를 접수받고 지원자를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진학할 학교를 배정함 -비평준화 지역의 경우에는 평준화지역의 고등학교를 제외한 모든 일반고등학교, 특성화고등학교, 마이스터 고등학교 등에 직접 원서를 신청하여 해당학교의 전입학 허가 여부에 따라 진학할 학교가 결정됨 -평준화 대상지역 : 수원, 성남, 안양(안양, 과천, 군포, 의왕), 부천, 고양, 광명, 안산, 의정부, 용인 -비평준화 대상지역 : 가평, 광주, 구리, 김포, 남양주, 동두천, 시흥, 안성, 양주, 양평, 여주, 연천, 오산, 이천, 파주, 평택, 포천, 하남, 화성 -평준화지역이나 비평준화 고등학교 포함 지역 : 고양, 안산, 용인 -고등학교 밀집지도 및 학군정보를 함께 살펴보면 용인3구역을 제외하곤 고등학교가 가장 밀집된 지역이 평준화 학군으로 지정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학군별 학교 수와 학생수를 살펴보았을 때 둘 모두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평준화 학군에서는 고양, 수원, 부천, 용인이 학교수가 가장 많았고 비평준화 학군에서는 남양주와 화성이 가장 많았음 -밀집도와 비교해서 살펴보면 비평준화 지역의 남양주와 화성의 학교 수는 많았던 반면 밀집도는 낮은 것으로 보아 지역에 골고루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학교위치도를 통해 확인 가능함 -이와 반대로 평준화 지역에서 학생수와 학교수가 낮은편인 안양학군의 안양시, 과천시, 군포시, 의왕시의 경우 고등학교 밀집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함 -학교수에 비해 학생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 학교들은 대체로 평준화지역인 군포시, 안양시, 안산시, 광명시, 고양시 등으로 나타남 - 데이터 출처 : 고등학교 전편입학 현황자료 (출처 : 경기도 교육청 입학전학 포털, 데이터 기준일자 : 2019.07.23.), 고등학교 학교군/고등학교 비평준화지역(출처 : 학구도안내서비스, 데이터 기준일자 : 2019.03.18.) |
9 |
사회적경제조직 분포 현황
|
공공·행정·복지 |
정효진 |
2019.04.26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4/201904/201904260516491500915.png
이미지
|
3483 |
- 사회적경제조직은 회원들의 욕구에 기초하여 이들이 소유하고 운영하는 사람 중심의 조직과 기업으로,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자활기업으로 구분할 수 있음(출처 : 경기도 부문별 협동조합 사업모형 및 개선방안(2015), 최준규 외)
-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2019년 4월 기준 협동조합, 마을기업, 사회적기업의 분포를 각각 분석함
- 협동조합은 수원시에 가장 많았으며(263개), 성남(244개), 고양(203개) 순으로 뒤따랐고 반면, 동두천은 19개로 가장 적었으며, 연천군(23개), 의왕시(26개), 구리시(26개) 순으로 나타남
- 마을기업은 여주시가 14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반면 하남시에는 마을곳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사회적기업의 경우 성남이 60개로 가장 많았으며, 수원이 53개로 그 뒤를 따랐고 반면 동두천은 사회적기업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과천, 양평, 연천에는 하나의 사회적기업만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남
- 경기도 내에 존재하는 사회적 기업은 기타 분야를 제외하고 청소(11.2%), 환경(11.2%) 분야가 많았으며, 목적은 일자리제공형(69.3%)인 경우가 대다수임
- 데이터 출처 : 마을기업현황, 사회적기업 현황(출처 : 경기도데이터드림, 데이터 등록일자 : 2019.04), 협동조합 리스트 (출처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협동조합, 데이터 등록일자 : 2019.04.)
|
8 |
우수 요양병원 분포
|
공공·행정·복지 |
정효진 |
2018.08.13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6/201808/201808130449431974852.pn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6/201808/201808130449451025436.bmp
이미지
도표
|
3524 |
- 의료법에 규정된 요양병원은 의사 또는 한의사가 의료를 행하는 곳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요양환자 30인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의료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개설된 의료기관을 말함.(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2017년 3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발표한 병원평가 정보에 따르면 전국에는 요양병원이 1,637개소 있고, 경기도 내에는 요양병원이 218곳 운영되어 있음
- 경기도 내 요양병원 218곳 중 우수 요양병원으로 평가 받은 1등급 기관은 43곳이며, 평가등급이 2등급(64곳)인 기관과 3등급(56곳)인 기관이 전체 요양병원 수의 55%를 차지함
- 요양병원의 수가 많은 시군은 고양시(21곳), 부천시(20곳), 안산시(15곳). 용인시(15곳) 순이며, 1등급 기관의 수가 많은 시군은 고양시(7곳), 부천시(7곳), 안산시(5곳), 광명시(4곳), 남양주시(4곳) 순임
- 데이터 출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병원평가 정보(요양병원) 현황 (다운로드 일자 : 2018년 8월6일). |
7 |
경기도 살충제 부적합 농가 현황
|
공공·행정·복지 |
정효진 |
2017.09.11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6/201709/201709111236311852393.pn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6/201709/201709111236311752674.PNG
이미지
도표
|
1918 |
- 2017년 8월 21일 기준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경기도 내 살충제 계란 농가는 총 18곳임
- 부적합 판정을 받은 곳은 비페트린 15곳, 피프로닐 2곳, 플루페녹수론은 1곳
- 검출된 농장들은 주로 경기도 외곽 지역에 위치한 시군의 농가에서 위치함.
- 계란 중 살충제 부적합 세부내역 : http://www.mfds.go.kr/egg_detail.html
- 데이터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2017.08.21). |
6 |
행정구역 변천
|
공공·행정·복지 |
진창종 |
2015.03.04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7/201503/201503041208021133417.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7/201503/201503041209361960014.jpg
이미지
도표
|
5037 |
- 1896년 13도제 실시로 3부 34군의 경기도 행정구역이 설치됨
- 6.25전쟁 이후 2시 19군 8읍을 관할
- 1988년 인천시 분리
- 2003년 27시, 4군, 16구로 개편
- 2014.12.31. 기준으로 경기도는 28개 시와 3개 군, 20개의 일반구와 읍(33개), 면(108), 동(413)으로 구성되어 있음 |
5 |
위치와 면적
|
공공·행정·복지 |
진창종 |
2015.03.04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7/201503/201503041206021634028.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7/201503/201503041206021194199.jpg
이미지
도표
|
8966 |
- 경기도는 동북아시아에 길게 뻗은 한반도의 서부중앙지역으로 동경 126~127도, 북위 36~38도 사이에 위치하고 있음
- 경기도의 면적은 전국토의 약 10%인 10,184㎢이며, 북쪽으로는 86km의 휴전선에 접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강원도, 남쪽으로는 충청도와 인접하여 있음 |
4 |
도서관 현황
|
공공·행정·복지 |
진창종 |
2015.03.03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6/201503/201503031159151386442.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6/201503/201503031159151324830.jpg
이미지
도표
|
2839 |
- 경기도는 총 101개의 공공도서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18개는 어린이도서관으로 이용되고, 안양, 수원, 의정부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도서관이 위치함
- 경기도에는 도서관의 질 향상, 수준 높은 지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이버도서관을 운영중이며, 다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화된 도서관을 별도로 운영하여 경기도의 거주자에게 나이, 인종, 계층을 넘어 모든이들에게 열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