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
1인가구 밀집지역 분석
|
도시·교통 |
정효진 |
2017.07.17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4/201707/201707170707471948406.pn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4/201707/201707170707471897245.png
|
8839 |
- 2015 인구 Census 기준 1인가구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지역은 수원시로 113.7천 가구가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남
- 1인 가구는 주로 서울 인접지역에서 높은 비율을 갖는 것으로 보이며 경기 외곽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 1인가구 비율(%) = 1인가구 수 / 해당 읍면동 가구 수
- 1인가구 밀도() = 1인가구 수 / 읍면동 면적
- 데이터 출처 : 통계청 CENSUS 2015 가구통계 (2017년 4월 6일). |
42 |
경기도 실업률 변화(2015~2016년)
|
산업·경제·관광 |
정효진 |
2017.05.08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5/201705/201705081254421451414.pn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5/201705/201705081254421111402.png
|
9827 |
- 실업률의 경우 2015년에서 16년 사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파주시, 과천시로 1.3% 증가하였으며,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은 오산시로 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실업률(%) = (실업자/경제활동인구)×100
- 데이터 출처 : 국가통계포털 (2017.02). |
41 |
경기도 고용률 변화(2015년~2016년)
|
산업·경제·관광 |
정효진 |
2017.05.08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5/201705/201705081253391361670.pn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5/201705/201705081253391251577.png
|
9219 |
- 2015-2016년 가장 고용률이 높게 나타난 지역은 이천시이며, 한 해동안 가장 고용률이 증가한 지역은 연천군(3.6% 증가)이고 감소한 지역은 수원시(1.5% 감소), 동두천시(1.5% 감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 고용률(%) = (취업자/15세이상 인구)×100
- 데이터 출처 : 국가통계포털 (2017.02). |
40 |
경기도 등록 공장 군집 분포
|
산업·경제·관광 |
정효진 |
2017.03.27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5/201703/201703270825241582166.pn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5/201703/201703270825241154054.png
|
5301 |
- 경기도에 등록된 공장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지역은 화성시(9,244개)이며, 그 뒤로는 안산시(6,749개), 시흥시(5,924개), 김포시(5,875개), 파주시(3,892개) 등이 뒤따른다.
- 지도를 살펴보면, 부천시, 시흥시, 안산시, 김포시, 성남시가 가장 공장이 군집된 도시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 지역은 반월산업단지, 시화산업단지, 김포산업단지, 성남산업단지에 해당하는 곳으로 산업단지가 위치한 곳에서 공장 군집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데이터 출처 : 경기도데이터드림 (2017.02). |
39 |
경기도 공장등록현황
|
산업·경제·관광 |
조무상 |
2016.11.04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5/201611/201611041038291887961.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5/201611/201611041038291756371.jpg
|
5171 |
- 경기도 내 공장등록수는 화성시(8,533개소)가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안산시(6,659개소), 시흥시(5,648개소), 김포시(5,422개소) 순으로 나타나며, 공장의 제조시설면적 합계는 화성시(10,049,210㎡)가 가장 높고, 안산시(7,802,473㎡), 평택시(4,919,221㎡), 시흥시(4,312,196㎡), 파주시(4,089,670㎡)순으로 나타남
- 분포를 살펴보면, 시화공단(시흥시, 안산시)에 많이 집중되어 있으며, 김포시와 포천시에도 집중되어 있음
※ 공장등록수 : 개소 / 제조시설면적 : ㎡(총 공장시설 면적 중 제조시설면적)
※ 자료출처 : "경기데이터드림" |
38 |
공공 CCTV 현황
|
안전·환경 |
조무상 |
2016.09.30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3/201609/201609300932591828532.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3/201609/201609300932591079786.jpg
|
4604 |
- 공공에서 관리하는 CCTV대수는 수원시가 7,816대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안산시(1,431대), 화성시(1,128대), 포천시(1,118대), 성남시(1,092대) 순으로 나타남
※ 자료출처 : "경기데이터드림" |
37 |
부동산 관심지역 핫스팟 분석(화성시, 수원시)
|
도시·교통 |
조무상 |
2016.02.19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4/201602/201602190455101051502.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4/201602/201602190455101818684.jpg
|
6417 |
- 경기도 부동산포털서비스를 통해 2013년 5월부터 2015년 6월까지 관심 부동산 검색량을 살펴보면, 화성시(1,321,563건)가 가장 많았으며 용인시(1,252,962), 수원시(1,242,262)순으로 관심지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화성시 핫스팟 분석결과, 동탄신도시를 비롯해 향남택지개발지구, 남양도시개발지구 등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검색량이 집중되고, 병점역과 수원대학교 주변에도 많이 검색되었다.
- 수원시는 대부분 전지역이 검색되었고 그 중에 경기도청 주변과 파장동일대에서 많이 검색되었으며 팔달, 권선 주택재개발지역에서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
36 |
부동산 거래량 및 실거래가격(2013~2014년)
|
도시·교통 |
조무상 |
2016.02.19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4/201603/201603021256361799863.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4/201602/201602190440531086554.jpg
|
4588 |
※ 이 자료는 경기도 부동산포털서비스의 2013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거래가격은 매매가, 전월세 보증금 및 월세의 합산으로 분석하였음 |
35 |
2015년 규제종합도
|
도시·교통 |
조무상 |
2015.10.08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4/201510/201510080839381257027.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4/201510/201510080839381934950.jpg
|
4862 |
-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의한 정비권역(과밀억제,성장관리,자연환경보전),팔당특별대책지역, 군사시설보호구역, 개발제한구역 등 각종 규제사항을 중첩한 규제종합도 작성 |
34 |
시가화지역 변화(2000년, 2009년, 2014년)
|
도시·교통 |
조무상 |
2015.08.25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4/201508/201508251021511438314.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4/201508/201508281245521957875.jpg
|
6129 |
- 경기도 2014년 시가화지역 면적은 1,165.8㎢이고 구역면적의 11.4%를 차지함
(시가화지역은 환경부 토지피복도 분류상 "시가화건조지역"을 말하며, 주거·공업·상업·문화체육휴양·교통·공공시설지역이 이에 해당됨)
- 2000년~2014년사이 경기도는 938.5㎢에서 1,165.8㎢로 17.9% 증가하였으나, 서울은 363.6㎢에서 344.0㎢로 5.6% 감소함
- 주로 가평군, 광주시, 동두천시, 오산시, 용인시, 파주시, 하남시, 화성시 지역에서 택지개발, 산업단지개발과 도로시설 확장으로 인해 시가화지역이 확산된 것으로 보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