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
지역별(소방서 관할별) 화재발생 현황
|
안전·환경 |
진창종 |
2015.04.14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3/201504/201504140558071592806.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3/201504/201504140558071507660.jpg
|
5952 |
- 최근 3년간 평균 화재건수를 살펴보면, 화성이 578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안산, 용인, 남양주, 수원이 뒤를 잇고 있음
- 인구 만명당 화재건수는 포천, 연천, 양평, 가평 등 경기 북동부지역이 인구대비 높은 화재건수를 나타내었으며, 수원, 분당, 부천, 광명이 인구대비 화재건수가 낮았음, 남양주와 용인은 평균 화재건수는 높으나 인구대비 화재건수는 다소 낮았음
- 소방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수원, 안산, 화성, 용인 등 경기 남부권에 밀집되어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음 |
32 |
행정구역 변천
|
공공·행정·복지 |
진창종 |
2015.03.04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7/201503/201503041208021133417.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7/201503/201503041209361960014.jpg
|
7199 |
- 1896년 13도제 실시로 3부 34군의 경기도 행정구역이 설치됨
- 6.25전쟁 이후 2시 19군 8읍을 관할
- 1988년 인천시 분리
- 2003년 27시, 4군, 16구로 개편
- 2014.12.31. 기준으로 경기도는 28개 시와 3개 군, 20개의 일반구와 읍(33개), 면(108), 동(413)으로 구성되어 있음 |
31 |
위치와 면적
|
공공·행정·복지 |
진창종 |
2015.03.04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7/201503/201503041206021634028.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7/201503/201503041206021194199.jpg
|
12119 |
- 경기도는 동북아시아에 길게 뻗은 한반도의 서부중앙지역으로 동경 126~127도, 북위 36~38도 사이에 위치하고 있음
- 경기도의 면적은 전국토의 약 10%인 10,184㎢이며, 북쪽으로는 86km의 휴전선에 접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강원도, 남쪽으로는 충청도와 인접하여 있음 |
30 |
도서관 현황
|
공공·행정·복지 |
진창종 |
2015.03.03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6/201503/201503031159151386442.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6/201503/201503031159151324830.jpg
|
4341 |
- 경기도는 총 101개의 공공도서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18개는 어린이도서관으로 이용되고, 안양, 수원, 의정부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도서관이 위치함
- 경기도에는 도서관의 질 향상, 수준 높은 지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이버도서관을 운영중이며, 다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화된 도서관을 별도로 운영하여 경기도의 거주자에게 나이, 인종, 계층을 넘어 모든이들에게 열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29 |
경기도 시군별 고용률, 실업률 현황
|
산업·경제·관광 |
진창종 |
2015.03.03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5/201503/201503031156371228846.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5/201503/201503031156371250818.jpg
|
5862 |
- 경기도 평균 고용률은 57.8%, 이천시가 64.4%로 가장 높았고, 가평군(63.7), 안성시(62.8), 오산시(61.6), 광주시(60.8)가 뒤를 있고 있으며, 과천시가 52.3%로 고용률이 가장 낮았음
- 경기도 평균 실업률은 3.2%이며, 고용률 최하위인 과천시가 실업율은 4.9%로 가장 높았으며, 의왕시(4.7), 부천시(4.5), 광명시(4.4), 안양시(4.4)가 뒤를 잇고 있음 |
28 |
경기도내 주요대기업 현황
|
산업·경제·관광 |
진창종 |
2015.03.03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5/201503/201503031155321999468.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5/201503/201503031155321625180.jpg
|
8637 |
- 경기도 주요대기업(제조업, 서비스업 각 27개 업체) 입지 현황을 살펴보면, 제조업은 안산, 수원, 용인, 과천 등지에 밀집해 있으며, 서비스업의 경우 성남(분당,판교) 일대와 안양, 수원에 주로 분포함
- 제조업의 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6.4조, 영업이익률은 6.9%를 나타내었으며, 서비스업은 업체당 3.4조의 매출액과 3.1%의 영업이익률을 나타냄 |
27 |
경기도 건축명소(근대)
|
산업·경제·관광 |
진창종 |
2015.03.03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4/201503/201503031152071664788.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4/201503/201503031152071424299.jpg
|
6375 |
- 건축명소는 '경기도 아름다운 건축지도 작성을 위한 자료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에서 역사, 근대, 현대 건축물 및 공간환경 가운데 도민 공모와 시,군의 추천을 통해 전문가 등의 자문과 심의를 거쳐 지역건축 자산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아 선정된 곳임
- 경기도내 근대 건축명소는 76곳이 있으며, 수원시가 20곳으로 가장 많고 파주시가 15곳으로 뒤를 잇고 있음 |
26 |
법적관광지 & 자연휴양림 현황
|
산업·경제·관광 |
진창종 |
2015.03.03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4/201503/201503031150581110532.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4/201503/201503031150581575920.jpg
|
3983 |
- 법적관광지는 정부가 관광에 적합한 지역을 관광지로 지정한 곳으로서 경기도에 총 15곳의 관광지가 존재
- 관광특구는 외국인 관광객 유치 촉진과 관광활동 활성화를 위해 관광활동과 관련된 관계법령의 적용을 배제하거나 완화하는 일정구역으로 관광진흥법에 의해 시행되며, 경기도 내 2곳의 관광특구 존재
- 자연휴양림을 울창한 산림이 있으나 접근이 용이한 곳에 위치한 국공유림 또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사유림을 대상으로 산림청의 고시 아래 지정되어 운영되며, 경기도 내 21곳이 위치 |
25 |
습지 및 저수지 현황
|
안전·환경 |
진창종 |
2015.03.02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3/201503/201503030137291206909.jpg
/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23/201503/201503030137291644178.jpg
|
4300 |
- 경기도에는 70여개소 이상의 내륙습지와 약 315.6㎢의 연안습지가 있으며, 그 중 내륙습지는 담수습지와 하천변습지, 강변습초원으로 대표할 수 있으며, 주로 여주시 일대에 주요 습지 자원들이 분포하고 있음
- 저수지는 하천 다음으로 중요한 지표수 용수원으로 하천용수보다 시설비가 비싸고 수질이 다소 떨어지는 결점도 있으나 풍부한 수량 및 하천보다 높은 수온으로 인해 농업용수로서 보다 유리함
- 저수지의 물은 수력발전, 상수도 등의 용수뿐 아니라 관광용지로도 개발할 수 있어 다목적성을 지닌 주요자연자원이라 할 수 있음 |
24 |
표고,경사 현황
|
안전·환경 |
진창종 |
2015.03.02 |
/wp-content/uploads/kboard_thumbnails/23/201503/201503040123231570142.jpg
|
7087 |
- 경기도의 지형은 서울을 중심으로 동북부지역은 높은 산지이고, 남서부지역은 평탄하고 완만한 지형지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표고가 가장 높은 산은 가평군 북면에 있는 화악산으로 표고 1,460m에 달함
- 시군별 표고를 살펴보면 평균표고가 200m 이상인 시군은 가평군(360m), 포천시(252m), 양평군(239m), 동두천시(209m) 순으로 이들 시군은 한강을 중심으로 동북부 지역에 해당되는 지역들임
- 수도권의 전체적인 지형은 한반도가 가지고 있는 경동지형을 반영하여 동쪽에는 비교적 높은 산지들이 나타나고 있지만, 서쪽 해안으로 가면서 고도가 점차적으로 낮아짐
- 수도권의 평균경사도는 7.3도로 한반도 전체 10.5도에 비해 낮게 나타나며, 서울시의 평균경사도는 4.7도, 인천광역시 5.2도, 경기도 7.6도의 기복특성을 보이는데, 이처럼 낮은 지형기복은 수도권에 인구가 집중될 수 있는 지형적인 조건을 제공해주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