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포그래픽

GRI 연구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디자인하고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제공합니다.

기업과 함께 만드는 스마트 워크 라이프
  • 작성일 2025-05-26
  • 저자명 김채만
“기업과 함께 만드는 스마트 워크 라이프”
- 출퇴근 부담 DOWN, 업무 효율 UP
기업의 통근 통행 감축 제도 도입 방안 (김채만 선임연구위원)

1. 수도권 출근 전쟁, 이때가 가장 힘들어요!
수도권 대중교통과 도로 교통량 현황(2021년 수도권 여객 기・종점 통행량(O/D) 조사)
∙ 60.96%, 오전 7~9시 - 수도권 출근 통행 집중
∙ 오전 8~9시 - 출근 통행 첨두시A (A: 교통 수요가 최고조에 달한 시간) 
∙ 30.6% - 첨두율B (B: 일일통행량 대비 가장 많은 통행이 관측된 1시간 통행량의 비율)

2. 출근길 정체, 근무 방식도 정체?
유연근로제 현황 고용노동부(2023), 2022년 일·가정 양립 실태
(유연근로란?   시간선택제, 시차출퇴근제, 선택근무제, 재량근무제, 원격근무제, 재택근무제 등을 말함.)
∙ 기업의 유연근로 유형별 도입율
  시차출근제 21.3%, 시간선택제 17.2%, 재택근무제 9.7%, 원격근무제 8.3%
∙ 기업의 업종별 유연근로 도입율
  전체 기업도입률 25.1%,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66.6%, 정보통신업 56.3%, 예술,스포츠&여가관련 서비스업 40.1%

3. 세계는 원격으로 앞서가는데, 우리는 여전히 출근 전쟁?
∙ 세계 원격근무율(2022년 기준)
  미국 23.8%, 유럽연합(28개국) 22%, 대한민국 2.4%  
∙ 세계 통근 통행 감축 프로그램
  유럽-EU 원격근무 협정, 프랑스-연결되지 않을 권리, 네덜란드-유연근무 법, 미국-원격근무 강화법

4. 출근길은 짧게, 일하는 방식은 유연하게!  근무 방식의 대전환, 지금 시작합니다.
∙ 출근시간 교통혼잡·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통근 통행을 감축하는 근무 형태·통근 이용수단 대전환
∙ ‘수도권 통근 통행 감축 정책’ 제정 및 시행
  - 근무시간과 장소가 유연한 유연근무제로 수도권 출퇴근 부담을 줄이고, 사회적 비용을 절감합니다!

□ 수도권 대중교통과 도로 교통량의 높은 첨두시 집중률이 가져온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통근 통행 감축방안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임 ○ 서울시 도심(4대 문) 코든 라인을 통과하는 하루 교통량은 974천 대(유입 486, 유출 488)이고, 진입 첨두율은 7.20%, 진출 첨두율은 6.35%임 ○ 수도권 대중교통 이용자의 교통카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하차 승객은 오전 첨두시(07~08시) 11.68%, 오후 첨두시(17~18시) 9.62%가 집중됨 □ 그러나 우리나라 원격근무율은 2.4%로 미국 23...

연구보고서 본문 보러가기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성과확산부
  • 담당자 홍진기
  • 전화번호 031-250-3580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