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공부문 ESG 활성화 방안 연구
과제분류정책연구
발행연도2025
보고서 번호2025-11
저자정상훈, 최준규, 신철희, 김보람, 이보나
□ 공공부문 ESG의 개념 재정의 및 주체별 ESG 역할 정립
○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공공부문에 ESG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ESG 개념과 구성요소를 활용목적과 공공부문의 특성에 맞춰 재정의하는 것이 필요
○ 공공부문 주체별 특성을 반영하여 ESG 역할을 정립하고 ESG 정책 추진을 통해 공공부문 간 또는 공공・민간・부문 간 협력과 시너지 창출을 도모
□ 경기도 공공부문 지속가능성 공시 제도화 및 ESG 지표체계 개발
○ 국내외 ESG 정책이 글로벌 지속가능성 기준에 따른 보고 및 정보공개를 주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공공부문 ESG 활성화를 위해 공공부문 지속가능성 공시를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
○ 경기도 공공부문 지속가능성 공시는 환경(E), 사회(S), 거버넌스(G)의 관점에서 도, 시군, 공공기관 등 공공부문 주체별 정책 및 활동, 성과를 측정 및 관리하고, 정보를 공개
○ 이를 통해 경기도 도정 목표 달성 및 현안 해결을 도모하고, 공공부문의 사회적 책임과 지역 사회의 지속가능성 제고 가능
○ (공공부문 지속가능성 공시 제도화) 경기도 공공부문 지속가능성 공시 도입・운영은 3단계(준비-시행-발전)로 지속가능성 공시대상, 공시범위, 관리 및 감독, 공시내용, 방법론, 결과 공개, 결과 환류, 제도적 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
○ (공공부문 ESG 지표체계 개발) 경기도 공공부문 지속가능성 공시를 위해 경기도의 도정 목표 및 현안을 반영하고 공공부문의 특성에 맞춰 기존 국내외 지속가능성 기준 및 ESG 지표를 수정・보완하여 경기도, 기초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ESG 지표체계(안)을 구성할 것을 제안
□ (경기도 차원) 경기도 공공부문 지속가능성 공시 계획 수립 및 이행 방안 마련
○ (목표 및 전략 설정, 계획 수립) 경기도의 도정 목표 달성 및 현안 해결을 목표로 도내 공공부문 지속가능성 공시제도 도입 및 운영
○ (공시 기준 개발 및 지침 마련) 도 차원에서 공공부문 맞춤형 지속가능성・ESG 기준을 개발하고, 이러한 기준과 방법, 절차 등을 포함한 공시 가이드라인 마련
○ (시범 도입 및 운영) 경기도, 일부 시군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지속가능성 공시제도를 시범 도입하여 결과를 검토하고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거쳐 수정・보완
○ (데이터 플랫폼 개발・운영) 국내외 지속가능성 기준 및 ESG 관련 규제에 대한 정보 제공, 데이터 측정 및 관리, 정보 공개 등을 위해 경기도 차원에서 통합 데이터 플랫폼을 개발 및 운영
○ (지원책 마련) 시군 및 공공기관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ESG 담당인력 확충 방안 마련, ESG 공시 및 평가 등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을 통한 동기 부여
○ (관리・감독 및 제3자 검증) 경기도, 시군 및 공공기관에서 공개한 지속가능성 정보에 대한 정확성 및 신뢰성, 객관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경기도 또는 위탁기관에서 검증 시행
□ (기초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차원) 각 시군 및 공공기관별 지속가능성 공시 세부 계획 수립 및 이행
○ (규칙 및 계획 수립) 경기도의 ESG 조례 및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각 기초자치단체 및 공공기관별로 조례 또는 규칙과 이행계획을 수립하여 ESG 도입 및 운영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 (기준 설정 및 공시) 공공부문 지속가능성・ESG 기준 및 공시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각 시군 및 공공기관별로 기준체계를 구성, 이에 따른 정보를 공시
○ (이중 중대성 평가) 각 조직별 이중 중대성 평가를 통해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이에 따라 지속가능성・ESG 기준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가중치를 부여
○ (ESG 위원회 설치) 각 시군 및 공공기관별 ESG 위원회를 설치함으로써 ESG 도입 및 운영 활성화를 위한 조직 내 집단적 리더십 발휘
○ (인식 및 역량 제고) 전문컨설팅 및 교육을 통해 단체장 및 기관장부터 조직 구성원들까지 ESG에 대한 인식 및 역량 제고

경기연구원 연구보고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의 CC 라이센스 조건에 따라 저작물에 대한 출처 및 저작자 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하며 2차 창작을 금지합니다.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성과확산부
- 담당자 김지은
- 전화번호 031-250-3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