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포그래픽

GRI 연구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디자인하고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제공합니다.

‘여느 공원 못지 않아요’ 아파트 녹지의 재발견
  • 작성일 2023-02-28
  • 저자명 김한수, 황지현
‘여느 공원 못지 않아요’ 아파트 녹지의 재발견
아파트 녹지의 재발견, 도시의 핵심 그린인프라로 활용하자 (김한수 연구위원)

여의도의 16배 ‘경기도 아파트 녹지’
- 경기도 조성녹지 현황

- 경기도 조성녹지 면적 (2020년) 208.8㎢

- 조성녹지 면적 비율
1위 도시공원(46.8%) 97.8㎢
2위 시설녹지(30.3%) 63.2㎢
3위 공동주택녹지(22.9%) 47.7㎢, 여의도 16개 규모

- 코로나 팬데믹 이후 주거지 주변 녹지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 아파트 녹지는 도시의 핵심 그린인프라입니다. 그린 인프라란? 도시 내 보전·녹지지역을 뜻하며  공원·정원·옥상녹화·가로수 등을 포함함

아파트 녹지 증가속도, 도시공원보다 빠르다
- 경기도 아파트 녹지 조성현황

- 최근 10년간 조성된 아파트 녹지 19.1㎢
- 최근 5년간 조성된 아파트 녹지 근린공원(5ha) 240개 규모

하지만 돈 들여 관리하지 않는 아파트 녹지
- 경기도 아파트관리비 내 녹지관리비율

- 아파트단지 연간관리비 중 녹지관리비용은 불과 4.7%
- 아파트녹지 연간관리비 1㎡당 827원 도시공원의 1/4수준

“녹지관리에 대한 입주민의 낮은 인식”
“사유지란 이유로 공공의 무관심”
“최소한의 비용으로 녹지관리, 아파트 녹지의 기능성 낮춰”

- 물가상승에 따른 소비 위축은 경기침체, 농식품수급 불균형에 영향을 줍니다.
- 농식품 물가상승은 영세한 식품기업과 취약계층에게 특히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아파트 녹지의 공공성에 집중하자
- 그린인프라 차원의 아파트 녹지 관리방안

- 도시계획 관련 법·제도 정비 : 녹지조성·관리계획 
- 공동주택관리법 개정 : 아파트녹지 관리규정 명확화
- 수목관리지침 제정 :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 아파트녹지 지원정책 추진 : 정부·지자체·민간 역학분담

우리나라 전체 주택 중 78.3%가 공동주택이며, 일반가구 중 66.8%가 아파트에 거주한다. 흔히 아파트라고 불리는 공동주택단지는 법적으로 의무 조경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주차장지하화 및 조경고급화 전략으로 아파트의 녹지는 이미 시민에 친숙한 녹지공간이 되었다. 경기도 아파트의 총 녹지면적은 47.7㎢(여의도 16배)로 전체 조성녹지의 23%를 차지하며, 아파트가 많은 지자체에서는 도시공원과 시설녹지보다도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중요한 그린인프라이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시기에 아파트 녹지에 대한 이용과 관심이 ...

연구보고서 본문 보러가기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성과확산부
  • 담당자 홍진기
  • 전화번호 031-250-3580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