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포그래픽

GRI 연구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디자인하고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제공합니다.

저출산 및 인구위기 대응에 우리가 필요한 것은?
  • 작성일 2025-07-28
  • 저자명 유정균, 어광수, 이근복, 박기덕, 황은정, 김재신, 박지은
저출산 및 인구위기 대응에 우리가 필요한 것은?
저출생에따른경기도인구구조변화전망및대응방안 (유정균 인구영향평가센터장)
※ 2024년 11월, 도민 1,500명 대상, 출생 및 인구구조 변화에 대한 인식조사 분석

1. 현재 대한민국은 ‘초저출산과 고령사회’(통계청)
출산율 변화
합계 출산율(2024) 대한민국 0.75명, 경기도 0.79명 
경기도 출생아 수(2023년 6.9만 명, 2024년 7.13만 명) 0.23만 명 증가(자연증가)
고령인구 변화
전국 7.3%(2000년), 19.1%(2023년)     경기도 5.8%(2000년), 15.8%(2023년)
생산가능인구 변화
전국 71.7%(2000년), 69.3%(2023년)     경기도 70.2%(2000년), 71.9%(2023년)

2. 저출산 원인은 이것?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 47.8%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 12.7%
일가정양립의 어려움 10.1%

3. 저출산, 고령화가 우리 사회에 이런 영향을?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경제성장 둔화 40.1%
세금 인상 및 사회보장 부담 증가 28.0%
인구감소로 인한 지역위기 21.9%

4. 출생아 및 인구감소 대응에 필요한 것은?
※ 저출생 문제 해결 없이는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저출생 대응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은 동시에 추진될 필요가 있다.
단기
자녀양육에 대한 경제적 지원 정책 31.5%
청년 주거 지원 정책 12.1%
일생활 균형을 위한 정책 12.0%
결혼, 출산 등에 관한 환경 조성을 위한 인구교육 11.1%

중장기
성평등, 다양한 가족의 수용성과 같은 문화로의 변화 21.5%
사회 계층 격차 완화 14.9%
사회구조 개혁 12.5%
사회안전망의 확대 11.4%

5. 경기도, 저출생, 인구구조 변화 대응은 이렇게!
출생과 돌봄 기회 강화 - 출생기회․부모의 돌봄 기회 강화, 일생활균형 확보, 자녀 중심의 정책 패러다임 전환
고령친화사회 조성 - 노인돌봄시스템 강화 및 센터 구축, 노인건강․일자리․평생교육 지원, 고령친화 주거환경 조성
고용확대 및 안정화 - 생산가능인구 역량 강화, 중장년 재취업, 정년 연장․고용 안정화, 외국인 근로자 활용 제고
다양성 및 포용성 확보 - 이주배경인구 정주화, 유학생 활용 방안, 내․외국인 갈등 완화, 세대 및 계층 통합, 다양한 가족․공동체 지원
지역 불균형 완화 - 생활인구 증대, 공공 의료 인프라 확대, 학교 교육 기능 확대․재구조화

□ 인구구조의 변화로 인해 영향을 받는 분야 및 영역을 전반적으로 검토한 후 전략목표와 추진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영역별 정책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음 ○ 출산율 회복에서 인구변화 대응으로 기조를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높아지고 있지만, 둘은 병행되어야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음 ○ 인구대응을 위한 전반적인 정책 로드맵과 특정 분야에 대한 구체적 정책 제안이 같이 포함되어야 함 ○ 저출생 대응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위한 추진전략을 세우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정책과제 제안 □ 인구...

연구보고서 본문 보러가기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성과확산팀
  • 담당자 홍진기
  • 전화번호 031-250-3580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