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포그래픽

GRI 연구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디자인하고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제공합니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 ‘경제교육이 필요해...!’
  • 작성일 2025-08-25
  • 저자명 한미진, 황의찬
경기도민 10명 중 9명, ‘경제교육이 필요해...!’
경기도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 (한미진 연구위원)
※2024.10.25.~11.4, 도민 18~69세 1,013명 대상, 경기도 경제교육 실태 조사

• 경제교육이 필요한데 받지 못했어요. 그 이유는? (복수응답)
  경제교육을 받는 곳을 몰라서 68.2%
  경제교육을 받을 생각을 해보지 않아서 37.8%
  경제교육을 받을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33.8%
• 경제피해 예방을 위해 이런 교육이 필요해요!  (복수응답)
  금융사기 예방 77.5%
  전세사기 및 부동산 72.5%
  불법사금융 관련 법률 53.4%
  저축과 투자기법 50.9%
• 나이대에 맞는 경제교육을 원해요!
  연령대별 맞춤형 교육(생애주기별) 36.5%
  (※ 30대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연령대별 맞춤형 교육“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음)
  지속적인 평생 학습 시스템 구축 27.6%
  실습 중심의 경제교육(실습과 시뮬레이션) 26.8%
• 인공지능(AI)이 도와주는 경제교육으로는 어떤 것을 원할까?
  (※ 인공지능(AI)은 개인의 상황에 맞는 교육을 가능하게 합니다.)
  실생활 시뮬레이션 제공(AI 기반 가상 경제환경 실습 진행) 34.9%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맞춤형 학습 32.9%
  실시간 피드백과 진단 22.8%
• 경제교육이 가장 필요한 사람은 누구?
  저소득층 56.8%,   한부모 가정(여성) 13.7%,  소상공인(남성) 16.8%
  (※ 저소득층 다음으로 여성은 ‘한부모 가정’, 남성은 ‘소상공인’을 가장 경제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꼽았음.)
• 취약계층의 효과적인 경제교육 방법은?
  생활 밀착형 교육 제공 34.8%
  기초 금융 이해력 증진 (저축, 대출, 신용관리 등) 27.2%
  맞춤형 재무 상담과 지원 23.4%
• 경제 지식과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키우는 체계적인 경제교육은 이렇게?
  실생활 밀착형 경제교육
  평등한 교육 기회 제공
  체계적인 경제교육
∙ 실생활 연계 경제교육
∙ 디지털 기반의 경제교육
∙ 생애주기별 경제교육
∙ 취약계층 대상 경제교육
∙ 경제교육 거버넌스를 강화
∙ 교육자료 표준화 및 효과성 평가

현대 경제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은 도민들의 경제적 역량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보이스피싱과 불법 사금융과 같은 금융사기가 정교화되고 피해 규모가 확대되면서 도민들이 금융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경제적 위협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경제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경기도는 「경기도 경제교육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경제교육 기본계획을 수립할 의무가 있으나, 그동안의 경제교육은 여러 부서에서 분산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

연구보고서 본문 보러가기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성과확산팀
  • 담당자 홍진기
  • 전화번호 031-250-3580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