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브리프

딥시크(DeepSeek) 영향과 대응 방안

딥시크(DeepSeek) 영향과 대응 방안

과제분류이슈브리프

발행연도2025

보고서 번호2025-03

저자송정은

원문
2025. 2. 11. (화)

❙부서장 : 김성하 AI혁신정책센터장(031-250-3244)
❙작성자 : 송정은 연구위원(031-250-3221)

□ 딥시크의 기술적 경쟁력
○ 중국발 딥시크 등장은 미국 위주의 고비용 생성형 AI 모델 개발사에게 도전적인 사건임
○ 단계별 사고가 돋보이는 추론형 R1 모델은 수학이나 문제 해결 능력 등 일부분에서 오픈 AI의 o1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임
□ 딥시크 특징과 영향력
○ 량원펑은 미국의 견제를 극복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에 주력하여 딥시크를 개발함
○ 국내·외 기업은 멀티 LLM 전략으로 딥시크-R1 모델을 활용하는데, 아직까지 보안 위협은 발견되지 않고 있음
○ 딥시크의 성공적 출현은 한국을 비롯한 세계 AI 선도국가 간의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 개발 경쟁을 고조시킴
○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 딥시크의 등장으로 AI 산업에서 가성비를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남
□ AI 안전성 및 신뢰성 관점에서 나타나는 딥시크의 취약점
○ 딥시크의 서비스 이용 약관으로 인해 개인정보 수집·처리 방식에 대한 보안 우려가 제기됨
○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논란으로 딥시크 앱 사용·설치 수가 급감하는 추세임
○ ‘탈옥’에 취약한 딥시크의 AI 모델 안정성 문제는 갈등, 혐오, 범죄 등에 악용될 수 있음
□ 대응방안 
○ 딥시크의 보안 정책적 위험성에 대응하기 위해 해외 국가들은 딥시크 이용 제한 및 금지 조치를 결정함
○ 국내에서도 딥시크의 정보 유출 및 악용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해 접속 차단을 권고함
○ 국가 사이버 안보 종합대책 마련 및 「AI 기본법」 내 세부 조항과의 연계가 필요함
○ 향후 경기도는 AI 인재 양성과 AI 안전성 강화를 위한 제도를 강화하여 글로벌 AI 거점으로서 경기도형 AI 브랜딩 방안을 모색해야 함

송정은의 다른 보고서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기획조정부
  • 담당자 우승현
  • 전화번호 031-250-3251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