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접촉식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 도입 및 확대방안
과제분류정책연구
발행연도2021
보고서 번호2021-38
저자김점산, 김서정
□ Tagless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의 제안서 검토, 시범사업 검토, 이용자 만족도 조사 및 기술평가를 통한 사업 추진 방안 제시
○ 본 연구에서는 관련 기술 및 사례 검토, Tagless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 제안서 검토, 시범사업 검토, 이용자 만족도 및 기술평가위원회 운영 평가 수행
○ 이를 통해 코로나19 대유행에 대응한 언택트 대표사업으로써 경기도 Tagless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의 사업추진 방안(공공버스 등) 및 향후 확대 발전방안 제시
□ Tagless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의 민간 제안에 대한 이용자 평가 및 기술적 검증을 위해 도내 3개 노선에 대한 시범사업 추진
○ 경기도는 코로나19 대유행에 대응한 대중교통체계 구축 일환으로 로카모빌리티(주)가 제안한 Tagless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에 대한 시범사업 추진
○ 로카모빌리티(주)는 이용자 및 민원 현황 분석 및 개선, 관련 기술 실증 및 개선, 경기도와 경기연구원은 이용자 만족도 조사, 기술 평가위원회 운영 평가 시행
□ Tagless 결제 이용자 만족도 7.5점, 충성도 8.1점, 추천도 8.4점으로 우수, 가술평가위원회 다수가 사업 확대에 긍정적 평가
○ Tagless 결제 이용자 109명 대상 만족도, 충성도, 추천도, 이용 특성, 개선사항 등 조사, 만족도 7.5점, 충성도 8.1점, 추천도 8.4점 획득(10점 만점 기준)
○ 기술평가위원회를 사전검토, 평가협의, 중간평가, 최종평가 등 총 4회를 개최하여 보안성, 안정성, 편의성 등 평가 결과, 다수가 사업 확대에 긍정적 평가
□ 경기도 시내・시외버스 교통카드 결제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설비확충(비콘설치) 사업으로 시장 여건을 반영한 단계적 추진
○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공주도로 「시내・시외버스 재정지원금 중 시설개선 사업예산」을 활용하여 사업 추진 필요
※ 버스업체(민간)의 선제적 자발적 설비 투자를 기대하기 어렵고, 로카모빌리티(주)가 투자할 경우 향후 타 카드사의 이용배제, 교통카드 수수료 인상 예상
□ Tagless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 도입으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버스 이용 시 감염 우려 최소화와 함께 승하차 시간 단축, 차내 사고 감소 기대
○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승객의 버스 이용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해소, 실제로 승하차 시 교통카드 단말기 미접촉으로 승객 간 접촉 최소화
○ 그 외 버스 승하차 시간 단축, 두 손이 자유로워 짐이 있어도 손잡이(안전봉)를 잡을 수 있어 사고 예방 및 하차 미태그 패널티 감소 기대(연 774만건)

경기연구원 연구보고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의 CC 라이센스 조건에 따라 저작물에 대한 출처 및 저작자 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하며 2차 창작을 금지합니다.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성과확산부
- 담당자 김지은
- 전화번호 031-250-3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