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경기도의 정책방향 및 대안 수립을 위한 기본연구 · 정책연구 · 수탁연구 · 기타연구에 대한 연구자료 입니다.

버스 운전자 안전 운전 지원시스템 개발

버스 운전자 안전 운전 지원시스템 개발

과제분류정책연구

발행연도2022

보고서 번호2022-901

저자김점산, 빈미영, 박경철, 허겸, 김서정

원문
국문요약
영문 요약

□ 경기도와 경기연구원은 현대모비스의 제안으로 The 안전한 공공버스 실천을 위한 산관연 업무협약(시범사업 등) 체결
○ 현대모비스는 경기연구원에 2020년 9월 경기도 시내버스 운전자를 대상으로 뇌파를 이용한 안전 운전 지원시스템 기술 개발 협업 제안
○ 경기도, 경기연구원 및 현대모비스는 현대모비스의 관련 기술 개발 협력(시범사업 등)을 통한 The 안전한 공공버스 실천을 위한 산관연 업무협약 체결

□ 경기도는 공공버스 운전직을 대상으로 현대모비스의 엠브레인(뇌파 측정 이어셋형 부주의 경고장치) 시범사업 추진
○ 현대모비스의 엠브레인은 이어셋형 뇌파 정보 수집 분석을 통행 부주의(졸음여부)를 판단하여 알람(경고)하는 안전 운전 지원시스템
○ 기본사양에 이어셋형 뇌파 센서, 제어기/모바일 디바이스(스마트폰 APP 대체)로 구성, 옵션사양으로 DSM(카메라형), 다양한 출력장치(저감모듈) 제안

□ 시범사업을 통해 뇌파 측정 부주의(졸음) 알람의 버스 운행 중 평균 주의력 증가 및 부주의 발생 감소 효과 확인
○ 버스 운행 시간대별 부주의 발생 비교 결과, 알람 활성화 시 비활성화 대비 부주의 발생이 25.3% 감소, 특히 식후 회차 시 29.7% 감소 효과
○ 구간별 주의력 및 부주의 발생 비교 결과, 주의력은 고속도로 0.04%, 시내도로 0.05% 증가에 그쳤으나, 부주의 발생은 고속 24.2%, 시내 20.4% 감소 효과
○ 부주의 발생 전후 주의력 비교 결과, 주의력 복귀시간이 알람 활성화 시 2.3초로 비활성화의 6.7초보다 빠르고, 1초 내 복귀 비율도 53.5% 대 51.8%로 높음

□ 뇌파 측정 이어셋의 만족도는 4.5점으로 중간 수준, 경고 시점, 소리 크기, 지속 시간, 효과성 전반에 개선 필요
○ 시범사업(뇌파 측정 이어셋)의 만족도는 4.5점, 충성도 6.0점, 추천도 1.0점으로 만족도, 충성도의 중간 수준에 비해 추천도는 매우 낮음
○ 뇌파 측정 이어셋형 부주의 경고장치에 대해 경고 시점의 적절성, 소리 크기의 적절성, 소리 지속 시간의 적절성, 경고에 의한 졸음 탈출의 효과성 전반의 개선 필요

□ 경기도 공공버스 운전직 안전 운전 지원을 위해 뇌파 센서 이어셋형 부주의(졸음) 경고장치의 단계적 도입 추진
○ 뇌파 활용한 부주의 경고장치는 기존 근로시간 단축 등 예방적 대안에 비해 직접적으로 관리, 경고 및 조치할 수 있는 비용 효과적 방안
○ 경기도 시내버스 중 우선 공공버스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에서 제기된 기기의 착용 편의, 구조의 개선 및 다양화 등의 반영을 전제로 단계적 도입(보급) 추진
○ 사업추진 체계는 버스재정지원금을 활용한 버스업체에 사업비 실비 지원을 전제로 기존의 경기도 시내버스 시설개선 사업 추진체계를 인용하는 방안 제안

□ 경기도 공공버스 전체 2,055대에 도입 시 버스재정지원금 3년간 1,847백만원 소요 예상(도비30%, 시군비 70%)
○ 경기도 버스재정지원금(도비30%, 시군비 70%)의 시설개선(기존차량, 기본사양)과 차량고급화(신차출고, 기본+옵션) 사업비로 도입 추진
○ 2022년 300대(기존차량 200대, 180백만원 소요)를 시작으로, 2024년까지 전체 2,055대(기존차량 1,659대, 신차 394대, 1,847백만원 소요)에 단계적 보급
○ 현대모비스의 엠브레인 기반 버스 안전 운전 지원시스템 도입으로 버스 졸음운전 사고 예방 효과, 버스 운전직 자기관리 개선, 이용자의 신뢰 및 이용률 증가 기대

□ 버스 첨단 안전 운전 지원과 함께 이용 승객 응급상황 감지 대응을 통합한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로 고도화 추진
○ 경기도, 경기연구원 및 현대모비스와 ‘The 안전한 공공버스’를 위한 업무협약으로 뇌파 활용 부주의 경고장치 및 관련 기술 개발 협력 추진
○ 단기적으로는 버스 운전자 상태 판단 및 경고장치의 개발, 중장기로 버스 승객 응급상황 감지 대응을 통합한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로 고도화 추진
○ 요소기술로는 뇌파, 피부 전도도, 심전도, 혈압/맥박 비접촉 측정, 실내 공기질/유해 원소(CO2, 알코올 등), 악취 측정, 승객 위치/자세 측정 기술 등 제안

김점산의 다른 보고서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성과확산부
  • 담당자 김지은
  • 전화번호 031-250-3261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