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수립 방향 연구
과제분류정책연구
발행연도2023
보고서 번호2023-01
저자김점산, 송제룡, 류시균, 빈미영, 박경철, 김병관, 유정훈, 김서정, 박지선
□ 국토교통부 제4차 대중교통기본계획(2022~2026)과 경기도 대중교통 주요 현안을 반영한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지침 마련 필요
○ 상위계획과 도내 현안을 반영한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의 수립 지침을 마련하여 시군 지방대중교통계획의 도정 연계, 계획의 구체성, 이행가능성 증진 필요
○ 민선 8기 도정 과제와 상위계획을 반영한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을 마련하여 경기도 향후 대중교통 관련 정책 및 사업의 추진 방향, 시군과 사업별 역할 분담 방안 제시
□ 국민의 이동권 보장을 목표로 하는 4개 전략 17개 세부 사업 중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반영 4건, 별도 사업 7건, 미반영 0건
○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에는 광역버스 확대 사업(시내버스 운영 효율화 및 심야버스를 포함), 벽지노선 지원 방안 반영
○ 경기도에서 별도 사업 중인 시내버스 준공영제, 공공버스 운영, 철도망 확충 방안, 수요응답형 버스, 전기・저상버스,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 등은 별도과제 및 경기도 자체 계획 반영
□ 대중교통 안전성 향상을 목표로 하는 3개 전략 6개 세부 사업 중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반영 1건, 별도 사업 3건, 미반영 2건
○ 시내버스 도민 서비스 평가는 매년 수행되는 경기도 자체 사업으로 평가 시 수행되는 QR 모니터링 내 추가 설문을 통해 관련 내용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에 반영
○ 경기도에서 별도 사업 중인 운수종사자 처우 개선, 택시 발전 계획, 첨단 안전 장치 설치 확대 등은 별도과제 및 경기도 자체 계획 반영
□ 대중교통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3개 전략 17개 세부 사업 중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반영 5건, 별도 사업 6건, 미반영 6건
○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에는 자전거/PM과 연계, 경기도 순환철도망의 준GTX급, 청소년 교통비 지원, 주차환경 개선 사업 등 반영
○ GTX플러스, 트램건설, 알뜰교통카드 확대, 버스・지하철-택시 간 정액환승할인제, 환승센터 구축, 버스・택시 인프라 확충 등은 별도과제 및 경기도 자체 계획 반영
□ 탄소중립 실현 등 대중교통 혁신을 목표로 하는 3개 전략 8개 세부 사업 중 지방대중교통계획 반영 1건, 별도 사업 6건, 미반영 1건
○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에는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 확대 사업을 반영하며 자율주행 셔틀버스 도입은 별도과제로 진행 필요
○ 경기도형 녹색교통 인프라, 비접촉 요금징수시스템, 대중교통 정보화 사업은 자체 계획을 반영하며 광역 긴급차량, 경기도 ITS 고도화는 법정계획 반영
□ 경기도 31개 시군의 지방대중교통계획의 효율적 추진과 경기도에서 진행하는 사업과의 연계를 위해 경기도 및 시군은 31개 사업에서 시행 및 지원, 협력
○ 시군의 지방대중교통계획은 경기도의 심의를 거쳐 확정되며 경기도 정책방향 및 사업이 효율적으로 추진 및 반영될 수 있도록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마련
○ 정부의 대중교통기본계획을 바탕으로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이 마련되며 경기도는 지방대중교통계획 9개, 별도과제 22개 과제에서 정부 및 시군과 시행 및 지원, 협력
□ 국토부의 제4차 대중교통기본계획 확정고시(’22)에 따라 경기도는 검토 기준안을 배포하였고 장기적으로 경기도 교통전반의 기본계획 마련 필요
○ 단기적으로 국토교통부는 제4차 대중교통기본계획, 시군은 제4차 지방대중교통계획을 확정고시하며 경기도는 관련 검토 기준안 배포, 중기적으로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확정고시
○ 장기적으로는 시군의 제5차 지방대중교통계획 수립을 지원하며 국토부 대중교통기본계획 범위 외의 대중교통관련 정책 사업이 반영되어 교통전반적인 기본계획 마련 필요

경기연구원 연구보고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의 CC 라이센스 조건에 따라 저작물에 대한 출처 및 저작자 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하며 2차 창작을 금지합니다.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성과확산부
- 담당자 김지은
- 전화번호 031-250-3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