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경기도의 정책방향 및 대안 수립을 위한 기본연구 · 정책연구 · 수탁연구 · 기타연구에 대한 연구자료 입니다.

경기도 혁신성장 역량 진단 및 정책추진 방향

경기도 혁신성장 역량 진단 및 정책추진 방향

과제분류정책연구

발행연도2022

보고서 번호2022-79

저자배영임, 문미성, 성영조, 김태영, 김유나, 박소영

원문
국문요약
보도자료
영문 요약

□ 글로벌 경기 침체와 공급망 재편 등 전 세계적인 경제・산업 환경 변화에 따라 혁신 패러다임의 뉴노멀이 등장하여 새로운 혁신성장 전략 추진 필요성 대두
○ 코로나19로 인한 디지털 전환 가속화, 미-중 무역분쟁과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재편, 탄소중립과 ESG 경영 실현에 따른 기업환경 변화 등 새로운 패러다임 등장
○ 벤처투자 감소와 미국의 자국 내 기업 보호 원칙 등에 따라 기업의 투자유치와 글로벌 시장 진출 등 경제적 위기 상황 봉착
○ 탄소중립과 ESG 경영 등 전 세계적인 합의 이행을 위해 새로운 혁신성장 정책을 수립하고 신성장동력 확보의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 정부는 국정과제에서 스타트업,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산업 전환, 지방 과학기술주권 확보(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등의 혁신성장 전략을 제시
○ 스타트업 생태계 선순환을 위해 TIPS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모태펀드 조성, 스케일업 지원 확대 추진
○ 중소기업의 스마트 제조혁신을 통해 스마트공장 고도화 등 제조 디지털 전환 촉진
○ 탄소중립 기술(기후테크) R&D지원, 중소・중견기업 클린팩토리 구축, 녹색융합클러스터 조성 등 탄소중립 실현 기반 구축
○ 지역 주도 중장기 R&D 프로젝트 추진, 혁신클러스터 기반 신산업 육성, 산업단지의 디지털화・그린화・창업거점화 추진

□ 경기도는 혁신성장 역량이 17개 시도 중 상위권이며 특히, 물리적・인적 혁신자원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으나 양적 역량에 비해 질적 수준은 낮음
○ 경기도는 창업기업과 기술기반업종 창업기업의 비중이 17개 시도 중 가장 많고 창업기업의 신생률이 높아 창업기업의 양적 수준이 전국 최고 수준이지만 투자 유치 및 창업투자회사 확보 수준은 서울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으로 창업기업의 투자여건은 취약
○ 경기도 중소제조업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는 전국 1위이며 스마트공장 도입기업 또한 전국에서 가장 많지만 스마트공장 기술 역량을 보유한 스마트공장 공급 기업은 서울시가 가장 많음
○ 경기도는 전국 대비 녹색산업의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매출액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경기도 31개 시군 중 화성시가 녹색산업 비중이 가장 큼
○ 경기도는 산업단지와 혁신클러스터, 창업인프라의 양적 수준은 전국 최고수준이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으로 개별 클러스터의 전문화 및 고도화 필요

□ 본 연구에서는 핵심적인 혁신성장 정책으로 스타트업 육성,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산업 전환, 혁신클러스터 고도화를 선정하여 정책 방향을 제시
○ 정책 방향 1. 스타트업 육성 정책
- 탄소중립(기후기술) 스타트업 육성 : 탄소중립 유망 스타트업 펀드 조성, 탄소중립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투자・보육) 프로그램 지원
- 스타트업・스케일업 펀드 조성 : 스타트업・스케일업(성장단계 데스밸리 극복) 투자 전문 펀드 조성
- 민간투자연계형 기술창업지원사업 확대 : Big3(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바이오) 분야 지원분야 신설
- 스타트업 거점 네트워크 구축 : 권역별 스타트업 혁신거점 구축 및 보육지원 서비스 표준화・전문화
- 경기도 스타트업 DB 구축 : 경기도 스타트업 통계 DB 구축 및 정기적인 실태조사 추진
○ 정책 방향 2.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정책
- 스마트공장 추진 사업 고도화 : 스마트공장 고도화 레벨 지원
- 디지털 트윈 제조혁신 테스트베드 구축 : 제조 디지털 트윈 플랫폼 설계, 전문인력 양성, 산업단지 내 테스트베드 구축
- 디지털 트윈 기반 탄소배출 모니터링 플랫폼 구축 :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SaaS 개발, 탄소배출 데이터 거래 및 연계를 위한 표준 마련, 지역별 산업단지 및 제조혁신 거점 시범사업 추진
- 디지털 밸류체인 협업 지원시스템 구축 : 산업별 기업 네트워크 구축, 산업별 데이터 통합 및 거래, 협업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개발, 민관합동 디지털 협의체 구축
○ 정책 방향 3. 탄소중립 산업 전환 정책
- 중소기업 탄소중립 교육・컨설팅 프로그램 구축 : 중소기업 종사자 탄소중립 교육・ 컨설팅 프로그램 지원
-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 지원체계 구축 : 온실가스 배출 진단 및 점검 지원, 탄소중립펀드 조성
○ 정책 방향 4. 혁신클러스터 육성 정책
- 권역별 혁신거점 특성화와 고도화 추진 : 권역별 특화산업 육성 혁신기반시설 구축, 경기도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기본계획 수립, 혁신클러스터 특성화 및 경쟁력 제고 지원 프로그램 마련
- 지역 미래 신성장 산업 유치공간 확보 : 첨단산업 집적 가능성 높은 지역 중심으로 신규 테크노밸리 조성
- 경기북부지역 테크노밸리 활성화 지원 확대 : 경기북부 테크노밸리 특성화 추진, 경기북부지역 특화 기술혁신지원사업 마련

배영임의 다른 보고서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성과확산부
  • 담당자 박지혜
  • 전화번호 031-250-3261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