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경기도의 정책방향 및 대안 수립을 위한 기본연구 · 정책연구 · 수탁연구 · 기타연구에 대한 연구자료 입니다.

경기도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방안 연구(2024~2028)

경기도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방안 연구(2024~2028)

과제분류정책연구

발행연도2023

보고서 번호2023-905

저자이수행, 박정지

원문
국문요약
영문 요약

 농업은 지속된 위기에도 불구하고 성장산업으로 대두될 것이라는 전망 확대

농가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 추이 지속으로 농촌사회 소멸 우려 확대
- 농가인구는 1970년 전국 14,422천 명, 경기도 1,459천 명에서 2022년 전국 2,166천명, 경기도 277천명으로 감소
- 농가인구 대비 65세 이상 고령농의 비중은 1990년 전국 11.5%, 경기도 10.3%에서 2022년 전국 49.8%, 경기도 43.3%로 증가
❍ 농업과 첨단기술의 융・복합화 확대로 농업경영 환경이 획기적으로 변화
- 농업 생산성의 급증, 농업 노동력 활용 급감,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플랫폼을 활용한 직거래 확대 등 농업혁명에 버금가는 농업 혁신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
- 농업의 생산 양식을 “노동”과 “토지”에 기초한 것에서 “자본”과 “기술” 중심으로 변화시켜 농업경영 방식은 물론 농촌 환경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
❍ 도시화가 정점에 달한 가운데 급격한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은 농업・농촌을 매개로 도시와 농촌의 새로운 협력 기회 확대
- 도시화가 정점에 달한 가운데 은퇴자 급증, 고령화 등으로 가중되는 도시문제를 도시와 농업・농촌의 연계를 통해 완화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사회농업(이탈리아 등), 치유농업(네덜란드 등), 농복연계(일본) 등이 빠르게 확대
- 한국도 은퇴자, 고령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이 농업에 기초해 새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차원의 사회농업, 치유농업 등이 빠르게 확대
❍ 농업・농촌은 위기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새롭게 조성되고 있는 주변 환경을 적절하게 활용해 21세기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도약 필요
- 스마트농업, 푸드테크 등 농업과 첨단기술의 융복합을 통해 농업의 혁신성장 촉진
- 고용 없는 성장의 지속,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확대, 고령화 등 심화하는 도시문제를 농업・농촌과 연결해 도시와 농촌의 문제를 동시에 완화하는 신산업 육성
 새로운 환경에 대응한 농업・농촌 발전계획 수립 필요
❍ 농업의 혁신, 농업과 자연의 조화, 도시와 농촌의 새로운 협력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새로운 농업・농촌 발전 전략이 빠르게 확대
- 미국, EU, 일본 등 선진국은 농업과 첨단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농업의 새로운 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그린바이오, 스마트농업, 무인
・자율농기계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발전계획 수립 및 투자 확대
- 네덜란드, 이탈리아 등 유럽은 농업을 활용해 은퇴자, 고령자,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치유, 휴양, 사회진출을 위한 교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농업, 치유농업 등이 확대되고 있으며, 일본은 농업과 복지를 연계하는 농복연계 사업을 추진
- “탄소제로” 이슈와 함께 환경친화적인 농업 생산 확대, 농장에서 식탁까지 공정하고 건강하며 환경친화적인 식품시스템 구축 등을 통한 농업의 지속가능성 향상
❍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내외 상황을 반영해 수립한 “2023 ∼ 2027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을 발표
- 비전 : 힘차게 도약하는 농업, 국민과 함께하는 농촌
- 5대 발전전략 : “굳건한 식량안보”, “미래 농식품산업 기반 조성”, “안정적인 농가경영 지원”, “국민이 안심하는 먹거리 공급”, “쾌적하고 매력적인 농촌 조성” 등
 국내외 상황을 반영해 경기도 농업・농촌의 발전 방향 제시
❍ 경기도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2024 ∼ 2028) 추진 방향
- 비전 : “경기농어업 ‘더 젊고’, ‘더 새롭게’”
- 5대 목표 : “농어업소득 1번지 (농어업소득 30% 증대)”, “친환경농업 1번지 (친환경 유기농 재배 면적 20% 확대)”, “동물복지 1번지 (주요 가축 30% 가축행복농장 인증)”, “농수산 창업 1번지 (농수산 창업 혁신 허브 조성)”, “농어촌 재생 1번지 (경기도형 창조 농어촌 300개 만들기)”
- 정책 방향 및 중점 추진전략 : “더 많은 기회”, “더 고른 기회”, “더 나은 기회” 등 3개 방향의 6대 중점 추진전략을 제시
- 추진 방법 : 경기도 농업・농촌의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 중점 추진전략 1 : 굳건한 식량안보 확보
- 식량 자급률 향상을 위해 밀, 콩 등의 기초 식량작물의 생산을 확대하고, 국가 식량안보를 위해 적정 수준의 농지 확보 및 합리적인 농지 이용 강화
❍ 중점 추진전략 2 : 혁신의 농식품산업 기반 조성
- 농업 R&D 및 전문인력 양성 강화, 스마트팜・푸드테크・그린바이오 등과 연계한 농식품산업의 혁신성장 촉진, 농식품산업의 수출 확대 등 추진
❍ 중점 추진전략 3 : 도민이 안심하는 먹거리 공급
- 경기도 향토식품의 발굴 및 육성, 농식품의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의 안전성 강화, 도시와 농촌을 연계한 식품산업 비즈니스 모델 구축, 농식품 유통구조의 스마트화, 친환경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 추진
❍ 중점 추진전략 4 : 포용의 농업・농촌 구축
- 취약계층의 먹거리 접근성 개선, 도시와 농촌을 연계한 지역 중심의 로컬푸드 확대, 농촌주민 등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서비스 향상 등 추진
❍ 중점 추진전략 5 : 안정적인 농가경영 지원
- 농업 생산의 안전성을 뒷받침하는 농업 노동시장 개선, 기후변화・재해 등에 대응한 농업경영 안전시스템 강화, 직불제 확충, 신규 농업인력의 안정적인 농업 진입 지원 등 추진
❍ 중점 추진전략 6 : 쾌적하고 매력적인 농촌 조성
- 농촌주민과 도시민 등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쾌적한 농촌 공간 및 정주 여건 조성, 귀농・귀촌 확대 등 추진

이수행의 다른 보고서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성과확산부
  • 담당자 박성미
  • 전화번호 031-250-3261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