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스타트업 지원사업의 성장단계별 분석 및 추진방향
과제분류정책연구
발행연도2023
보고서 번호2023-43
저자성영조, 김유나, 송승현, 신기동
국내 스타트업 투자 환경과 경기도 스타트업의 특성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경기도 스타트업 지원 정책의 효율화 방안 필요
❍ 매년 증가하던 국내 벤처스타트업 투자는 2021년 정점을 찍었고 2022년 처음 감소하였으며 2023년 및 2024년 벤처투자는 위축될 것으로 예상
❍ 경기 부진 및 세수 부족으로 긴축재정이 예상되며 혁신 기술에 대한 공공의 투자 위축이 예상되며 중앙정부도 R&D 및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감소 예상
❍ 2022년 경기도 기술기반업종 창업 수는 전국의 34.1%로 최대이며 서울의 23.2%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지만 2022년 경기도 지역 벤처투자 금액 비중은 전국 16.7%로 서울의 전국 비중 55.4%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
❍ 경기도에는 ICT뿐 아니라 첨단기술, R&D 관련 인프라 기반 스타트업의 성장 환경이 구축되어 있으며 판교 자율주행 실증단지, 광교 바이오산업 클러스터 등 R&D 및 혁신 인프라가 이에 해당
경기도의 스타트업 지원사업을 초기창업-성장-글로벌-회수(EXIT) 4가지 단계 관점에서 연도별, 실・국별, 단계별 사업과 예산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
❍ 경기도의 스타트업 지원사업 예산은 일반회계 기준으로 2023년 436억 원으로 중소기업지원사업 예산 4,545억 원의 9.59% 수준으로 분석됨
❍ 경기도 스타트업지원사업은 2015년부터 2023년까지 9년간 220개로 집계되었으며 2015년 239억 원에서 2023년에는 33개 사업 436억 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2015년에는 초기창업 단계 사업이 비중 95.0%로 대부분이었으나 2023년에는 초기창업 비중은 52.2%로 줄고 성장 및 회수 단계 비중이 증가함
❍ 글로벌진출 및 회수(EXIT) 단계 사업 비중은 2023년에도 여전히 매우 낮으며 이에 대한 전략이 필요함
❍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기술 등을 지원하기 위해 신설한 미래성장산업국 예산이 2023년 243억 원으로 실・국 중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경기도 스타트업의 요구사항과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에 등록된 스타트업 181개 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시사점을 도출함
❍ 창업 당시 업무공간은 정부/지자체/공공기관 등 공공 창업시설 활용이 45.3%로 가장 많았으며, 입지 선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임대비용’으로 나타남
❍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경로에 대해서는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등 공공기관 보증 대출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VC 자금, 금융권 대출 순으로 나타남
❍ 해외 진출한 스타트업은 응답 기업의 37%로 나타났으며 진출 국가로는 미국, 동남아, 일본 순이었으며, 글로벌 진출 시의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해외 판매처 및 파트너 확보로 나타남
❍ 글로벌 비즈니스 추진 경로로는 KOTRA, 무역협회,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등 글로벌 전문 지원기관을 선호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스타트업캠퍼스 등 경기도 지원기관으로 나타남
❍ M&A와 관련해서는 전체 응답의 77.9%가 M&A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M&A 추진 시 가장 우려되는 사항은 적정가치 이하로 매각되는 것으로 나타남
경기도 스타트업 지원사업에 대해 초기창업, 성장, 글로벌, 회수(EXIT), 종합지원 및 인프라 5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8가지 정책방향 제안
❍ 스타트업 지원사업에 대한 분석은 여러 가지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성장단계별로 접근하고 이에 대한 분석 및 방향을 제시하였음
❍ 초기창업 단계에서는 초기창업 지원사업의 고도화, 성장단계에서는 전략분야(산업별・기술별) 스타트업 지원 및 공공액셀러레이터(AC) 도입 제시
❍ 글로벌 단계에서는 경기도형 글로벌 진출역량 강화 및 글로벌 스타트업 교류 협력 강화 제시, 회수(EXIT) 단계에서는 M&A지원사업의 효율화 제시
❍ 종합지원 및 인프라 확충 분야와 관련해서는 T-형 스타트업 지원 체계구축 및 GSP(경기스타트업플랫폼)의 오픈플랫폼화 제시

경기연구원 연구보고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의 CC 라이센스 조건에 따라 저작물에 대한 출처 및 저작자 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하며 2차 창작을 금지합니다.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성과확산부
- 담당자 박지혜
- 전화번호 031-250-3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