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경기도의 정책방향 및 대안 수립을 위한 기본연구 · 정책연구 · 수탁연구 · 기타연구에 대한 연구자료 입니다.

경기도 스타트업 지원사업의 성장단계별 분석 및 추진방향

경기도 스타트업 지원사업의 성장단계별 분석 및 추진방향

과제분류정책연구

발행연도2023

보고서 번호2023-43

저자성영조, 김유나, 송승현, 신기동

원문
국문요약
영문 요약

 국내 스타트업 투자 환경과 경기도 스타트업의 특성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경기도 스타트업 지원 정책의 효율화 방안 필요
❍ 매년 증가하던 국내 벤처스타트업 투자는 2021년 정점을 찍었고 2022년 처음 감소하였으며 2023년 및 2024년 벤처투자는 위축될 것으로 예상
❍ 경기 부진 및 세수 부족으로 긴축재정이 예상되며 혁신 기술에 대한 공공의 투자 위축이 예상되며 중앙정부도 R&D 및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감소 예상
❍ 2022년 경기도 기술기반업종 창업 수는 전국의 34.1%로 최대이며 서울의 23.2%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지만 2022년 경기도 지역 벤처투자 금액 비중은 전국 16.7%로 서울의 전국 비중 55.4%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
❍ 경기도에는 ICT뿐 아니라 첨단기술, R&D 관련 인프라 기반 스타트업의 성장 환경이 구축되어 있으며 판교 자율주행 실증단지, 광교 바이오산업 클러스터 등 R&D 및 혁신 인프라가 이에 해당
 경기도의 스타트업 지원사업을 초기창업-성장-글로벌-회수(EXIT) 4가지 단계 관점에서 연도별, 실・국별, 단계별 사업과 예산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
❍ 경기도의 스타트업 지원사업 예산은 일반회계 기준으로 2023년 436억 원으로 중소기업지원사업 예산 4,545억 원의 9.59% 수준으로 분석됨
❍ 경기도 스타트업지원사업은 2015년부터 2023년까지 9년간 220개로 집계되었으며 2015년 239억 원에서 2023년에는 33개 사업 436억 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2015년에는 초기창업 단계 사업이 비중 95.0%로 대부분이었으나 2023년에는 초기창업 비중은 52.2%로 줄고 성장 및 회수 단계 비중이 증가함
❍ 글로벌진출 및 회수(EXIT) 단계 사업 비중은 2023년에도 여전히 매우 낮으며 이에 대한 전략이 필요함
❍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기술 등을 지원하기 위해 신설한 미래성장산업국 예산이 2023년 243억 원으로 실・국 중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경기도 스타트업의 요구사항과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에 등록된 스타트업 181개 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시사점을 도출함
❍ 창업 당시 업무공간은 정부/지자체/공공기관 등 공공 창업시설 활용이 45.3%로 가장 많았으며, 입지 선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임대비용’으로 나타남
❍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경로에 대해서는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등 공공기관 보증 대출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VC 자금, 금융권 대출 순으로 나타남
❍ 해외 진출한 스타트업은 응답 기업의 37%로 나타났으며 진출 국가로는 미국, 동남아, 일본 순이었으며, 글로벌 진출 시의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해외 판매처 및 파트너 확보로 나타남
❍ 글로벌 비즈니스 추진 경로로는 KOTRA, 무역협회,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등 글로벌 전문 지원기관을 선호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스타트업캠퍼스 등 경기도 지원기관으로 나타남
❍ M&A와 관련해서는 전체 응답의 77.9%가 M&A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M&A 추진 시 가장 우려되는 사항은 적정가치 이하로 매각되는 것으로 나타남
 경기도 스타트업 지원사업에 대해 초기창업, 성장, 글로벌, 회수(EXIT), 종합지원 및 인프라 5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8가지 정책방향 제안
❍ 스타트업 지원사업에 대한 분석은 여러 가지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성장단계별로 접근하고 이에 대한 분석 및 방향을 제시하였음
❍ 초기창업 단계에서는 초기창업 지원사업의 고도화, 성장단계에서는 전략분야(산업별・기술별) 스타트업 지원 및 공공액셀러레이터(AC) 도입 제시
❍ 글로벌 단계에서는 경기도형 글로벌 진출역량 강화 및 글로벌 스타트업 교류 협력 강화 제시, 회수(EXIT) 단계에서는 M&A지원사업의 효율화 제시
❍ 종합지원 및 인프라 확충 분야와 관련해서는 T-형 스타트업 지원 체계구축 및 GSP(경기스타트업플랫폼)의 오픈플랫폼화 제시

성영조의 다른 보고서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성과확산부
  • 담당자 박성미
  • 전화번호 031-250-3261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