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창업·벤처 생태계 지수 개발 및 정책 방향
과제분류정책연구
발행연도2024
보고서 번호2024-10
저자성영조, 이영석
경기도 지역 스타트업・벤처의 기업환경, 혁신수준, 투자・인프라 현황 및 공공의 정책지원 등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경기도 생태계 지수 필요
❍ 경기도는 전국 창업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술기반창업에서도 전국 비중이 34%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 경기도는 기술창업, 스타트업 및 벤처기업 지원과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 현황, 혁신 성과, 인프라 등을 나타내는 계량 지표가 필요함
❍ 중앙정부는 창업・벤처 관련 생태계 지수를 이미 개발하여 사용 중이지만 경기도는 관련 지수가 아직 개발되지 않았음
❍ 혁신기업 현황뿐 아니라 투자현황 분석, 스타트업과 벤처 지원 현황 파악, 정책활용도 향상 등을 위해 경기도 창업・벤처 생태계 지수가 필요
경기도의 창업・벤처 생태계 종합지수는 4가지 세부지수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4가지 세부지수는 24개 세부지표로 구성되어 있음
❍ 경기도 창업・벤처 생태계 지수는 기업지수, 투자지수, 정부지수, 경기도지수 등 4가지 세부지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종합지수 도출
❍ 생태계 지수는 특정연도를 기준시점으로 정하고 비교시점 지표값과 상대적인 차이를 계산하여 지수를 도출하는 종합주가지수 방식을 따름
❍ 기업지수에는 경기도 창업기업 수, 경기도 벤처기업 수 등 경기도 지역의 기업관련 통계가 사용됨
❍ 투자지수에는 투자기관 수, 경기도 벤처투자기업 수 등 경기도 지역의 투자관련 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지수 특성상 전국통계가 필요한 경우 이를 활용
❍ 정부지수에는 창업기업・벤처기업 기술보증 금액, 국가연구개발사업비 등 중앙정부 관련 통계를 사용하되 경기도 지역에 투자된 규모를 산출하여 사용함
❍ 경기도지수에는 경기도 스타트업예산, 경기도 연구개발투자 예산, 경기도 펀드 조성 및 투자 금액 등 경기도가 자체 추진한 사업 통계를 사용함
경기도의 창업・벤처 생태계 종합지수는 2022년 기준 189.4로 2017년에 비해 5년간 89.4% 증가함
❍ 경기도 창업・벤처 생태계 지수는 기준연도 2017년 지수를 100으로 설정하였으며 2022년 기준 종합지수는 189.4로 89.4% 증가함
❍ 2022년 기업지수는 136으로 2017년에 비해 36% 증가했으며 기술기반업종 창업기업 수, 신규 벤처천억기업 수 등이 지수에 영향을 줌
❍ 2022년 투자지수는 218.1로 2017년에 비해 118.1% 증가했으며 벤처투자기업 수, 투자딜 건수, 벤처펀드 투자금액 등이 골고루 지수에 영향을 줌
❍ 2022년 정부지수는 116.2로 2017년에 비해 16.2% 증가에 그쳤으며 지수의 특성상 일부 세부지표에 추정치를 사용하여 지수를 산출함
❍ 2022년 경기도지수는 279.6으로 2017년에 비해 179.6% 증가했으며, 이는 주로 경기도 펀드 조성금액과 투자금액의 증가에 기인함
생태계 지수는 경기도 자체 창업・벤처 정책수립 및 사업기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통계구축과 주기적인 지수도출을 통해 고도화 가능
❍ 경기도는 기술기반창업 및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며 벤처・스타트업 3,000개를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선포
❍ 생태계 관점에서 벤처・스타트업의 기업환경 조성이 필요하며, 추진사업과 성과지표, 생태계지수 등을 바탕으로 미래 정책방향 수립이 필요함
❍ 경기도 창업・벤처 생태계 지수를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관련 DB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생태계지수 통계의 정기적 발간 필요
❍ 경기도에 이상적인 창업・벤처 생태계 구축을 위해 유망 스타트업・혁신형기업 유치, 국가연구개발사업 확보, 첨단기술 테스트베드 구축, 경기도내 창업벤처 지원기관 간의 협업체계 구축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
경기연구원 연구보고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의 CC 라이센스 조건에 따라 저작물에 대한 출처 및 저작자 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하며 2차 창작을 금지합니다.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