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무장애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과제분류정책연구
발행연도2024
보고서 번호2024-08
저자정대영, 신한나, 이수진
최근 무장애관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정부 및 지자체가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장애인, 고령자 등 관광약자를 위한 관광환경은 여전히 열악한 실정
❍ (관광약자 현황) 장애인, 고령자, 영유아, 임산부 등 이동이나 시설이용 및 정보접근에 대한 제약으로 관광활동이 어려운 모든 사람이며, 관광취약계층도 포함
- 전체 인구 대비 관광약자는 약 1,450만 명으로 전국 인구수 대비 28.3%의 비율이며, 경기도의 관광약자는 약 327만 명으로 경기도민 전체 인구 대비 24.0%
❍ (정책 동향) 관광약자를 위한 관광활동이나 서비스는 문화체육관광부가 2015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열린관광지 조성사업’을 기점으로 크게 발전
- 경기도는 2019년 「경기도 무장애관광 환경 조성 및 지원 조례」를 개정하고, 관광지 공간환경 개선, 경기여행누림, 무장애관광 활성화 및 정보제공 등 사업을 추진 중
경기도는 공급자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관광약자에게 제공되는 실질적 혜택이 부족하고, 지속 가능한 무장애관광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반 구축도 미흡한 실정
❍ (하드웨어) 무장애 관광지 공급이 향후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며, 음식점, 숙박시설 등 관광사업체 참여가 미흡해 관광약자의 여행사슬이 단절되는 구조
❍ (소프트웨어) 공공 주도의 관광콘텐츠 개발 및 운영으로 콘텐츠 다양성과 운영 지속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으며, 관광약자를 위한 여행활동 지원사업도 미흡한 실정
❍ (휴먼웨어) 지역 맞춤형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여 무장애 관광시장을 성장시킬 수 있는 ‘무장애 전문여행사’가 부족하며, 이들을 위한 지원책이 부재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약자에 대한 관광 접근성 개선 및 무장애 관광생태계 구축을 통해 경기도의 지속 가능한 무장애관광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것
경기도는 관광약자 유형별(장애인, 고령자, 영유아 등), 여행 전 단계(여행 전, 여행 중, 여행 후)를 고려한 맞춤형 무장애 관광정책 수립 필요
❍ (관광약자 유형별 특성 고려) 장애인, 고령자, 영유아 등 관광약자 유형별 관광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여 자유로운 관광활동을 위한 맞춤형 지원 정책 필요
- 장애인은 장애 유형별, 고령자 및 영유아 등은 생애주기별로 신체적・인지적 특성 파악이 중요
❍ (여행사슬 고려) 관광약자의 여행 전 과정(여행 탐색단계~평가 단계)에서 단절이 생길 수 있는 요인을 찾아내고 지자체가 이를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 노력 필요
본 연구는 경기도 무장애관광 활성화를 위한 3개 전략과 12개 실행과제를 제시
❍ (비전)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 모두가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도시”
❍ (목표) 도내 장애인 여행경험률 30% 이상, 관광거점권역 3개소, 관광만족도 80점 이상
❍ (전략 1 : 무장애 관광기반 강화) ① 경기도 무장애관광 전담조직 구축, ② 무장애 관광환경 인증제 도입, ③ 무장애 전문여행사 육성 지원, ④ 관광약자 여행활동 지원사업 확대
❍ (전략 2 : 무장애 관광공간 조성) ① 관광사업체 시설개선 지원사업 추진, ② 무장애 관광거점 권역 조성, ③ 수요맞춤형 관광지 공간환경 개선, ④ 경기 무장애 길 조성
❍ (전략 3: 관광 접근성 개선) ① 경기도형 무장애 관광콘텐츠 개발 ② 무장애 관광교통 지원 확대, ③ AI 기반 무장애 관광서비스 제공, ④ 경기 무장애 여행주간 운영
이를 위해 경기도는 우선 기본계획 수립, 위원회 설치를 통해 정책 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전문인력 중심의 컨트롤타워(전담조직)를 구축
❍ ‘(가칭)경기도 무장애관광 환경 조성 자문위원회’가 현행 제도 및 사업 추진에 대한 진단을 통해 ‘경기도 무장애관광 기본계획’을 수립 방향을 결정
- 기본계획에는 조례에 제시된 무장애관광을 위한 물리적 환경 개선 및 이동편의 증진, 관광약자 관광활동 지원방안, 무장애관광 관광콘텐츠 발굴 및 육성, 무장애관광 정보 확충 등을 포함
❍ 또한, 무장애관광 전담조직인 ‘(가칭)경기도 무장애관광 지원센터’ 설치 방안을 제시
- 조직의 위상과 운영방식에 따라 인력배치, 재원확보 등 핵심 사안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중장기적 관점에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 → 권한 및 독립성 확보 필요
❍ 즉 ‘경기도 무장애관광 기본계획’ 수립과 수행 주체인 ‘(가칭)경기도 무장애관광 지원센터’ 설치는 상호 연계성을 고려하여 추진
❍ 이를 중심으로 정책 방향을 ‘복지’ 관점에서 ‘관광산업’ 관점으로 전환하고, 민간참여 확대와 인식개선 사업을 통해 관광생태계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초점
- 무장애관광 인력은 세분화하여 전문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경기도를 매력적인 무장애 관광지로 알릴 수 있는 브랜딩이 필요

경기연구원 연구보고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의 CC 라이센스 조건에 따라 저작물에 대한 출처 및 저작자 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하며 2차 창작을 금지합니다.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성과확산부
- 담당자 김지은
- 전화번호 031-250-3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