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경기도의 정책방향 및 대안 수립을 위한 기본연구 · 정책연구 · 수탁연구 · 기타연구에 대한 연구자료 입니다.

경기스마트치매마을 서비스 개발 연구

경기스마트치매마을 서비스 개발 연구

과제분류정책연구

발행연도2024

보고서 번호2024-27

저자이은환, 김욱

원문
국문요약
영문 요약

이 연구는 치매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인공지능, 디지털 기술, ICT 기술 등을 활용하여 ‘경기스마트치매마을’의 스마트 치매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치매 환자의 치료와 돌봄에 활용되는 인공지능, ICT, 로봇 등의 스마트 기술은 각 서비스의 목적, 주제, 영역별로 다양하게 분류되어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경기스마트치매마을’의 스마트 서비스 영역을 총 3가지로 ‘예방 및 치료 스마트 서비스’,‘일상생활 지원 및 돌봄 스마트 서비스’, 그리고, ‘안전 및 네트워크 스마트 서비스’로 도출하였다.
또한 상기 ‘경기스마트치매마을’의 3가지 스마트 서비스 영역에 대해 각 영역별로 치매 환자에게 필요한 스마트 서비스의 내용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 ‘예방/치료’영역에서는 ‘스마트 비약물 치료’ 서비스를 도출하였고, 구체적으로는 ‘인지훈련’,‘운동치료/신체활동’, ‘현실인식 훈련’, ‘회상치료’, ‘인지자극치료’ 등 총 5개 항목의 스마트 서비스를 도출하였다. 두 번째 ‘일상생활 지원 및 돌봄 스마트 서비스’ 영역에서는 총 6개 항목인 ‘개인위생/몸단장’, ‘식사/영양관리’, ‘옷입고 벗기’, ‘기능적 이동’, ‘화장실이용(배설)/위생관리’, ‘목욕’ 지원에 대한 스마트 서비스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안전 및 네트워크’ 영역에서는 총 8개 항목인 ‘위험감지/예방’,‘생존신호 감지’, ‘활동 모니터링’, ‘배회 방지’, ‘정신행동증상 관리’, ‘고립 방지/사
회참여’, ‘정서적 지원/교감’, ‘소통/네트워크’ 스마트 서비스로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경기스마트치매마을’의 스마트 서비스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한 정책적 제언은 첫째, 치매 및 노인 대상 스마트 사업들을 통합, 연계, 조정할 수 있는 경기도의 통합관리기구 설치와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경기도의 치매 및 노인 대상 스마트 기술 도입 사업을 추진할 경우 ‘스마트 기술 도입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대상자 중심의 통합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공간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이은환의 다른 보고서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디지털경영부
  • 담당자 김지은
  • 전화번호 031-250-3261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