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경기도의 정책방향 및 대안 수립을 위한 기본연구 · 정책연구 · 수탁연구 · 기타연구에 대한 연구자료 입니다.

지역 KLEMS DB 구축과 산업별 생산성 분석

지역 KLEMS DB 구축과 산업별 생산성 분석

과제분류정책연구

발행연도2024

보고서 번호2024-89

저자한미진, 황의찬

원문
국문요약
영문 요약

경기도는 인구와 경제 규모가 가장 큰 광역지자체로서 산업정책을 위한 정책 수요가 매우 높지만, 지역 경제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반도체 등 첨단제조업과 IT 기반의 스타트업이 밀집해 있어 국가 전체의 산업구조와는 차별화된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산업적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산업정책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지역 통계에 기반한 심층적 분석자료가 필요하며, 광역 단위에서 경기도의 산업별 생산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지역 간 비교연구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 산업정책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지역 KLEMS DB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경기도 내 산업부문별 투입 및 산출구조를 반영한 총요소생산성 지표를 산출함으로써, 경기도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장기적인 성장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광역지자체 단위의 34개 산업에 대하여 지역 KLEMS DB를 구축한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7개 광역지자체별로 자본(K), 노동(L), 에너지(E), 재료(M), 구입서비스(S)의 가격지수와 물량지수를 구축하고, 산업별 총요소생산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발표된 지역산업연관표의 시차와 최신 자료 부족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RAS 기법을 활용하여 미발표 연도의 자료를 보완 구축하였다. 추후 최신 자료가 발표될 경우 이를 반영하여 자료의 정밀도와 신뢰성을 높일 예정이다.
총요소생산성 분석 결과, 경기도의 산업별 연평균 총요소생산성 성장률은 산업별 차이는 있으나 국가 전체와 대체로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농림어업, 제조업, 서비스업의 총요소생산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광업, 전력・가스・수도, 건설업 등의 산업에서는 총요소생산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도시가스 및 증기・온수 산업은 총요소생산성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에너지 정책 변화와 대체 에너지원 확산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와 같은 산업에서는 높은 생산성 향상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지역 KLEMS DB와 분석 결과는 경기도의 산업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산업별 지원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생산성이 높은 산업을 육성하며, 총요소생산성이 둔화된 산업에 대한 구조적 개선 전략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산업연관표 기반의 지속적인 생산성 분석을 통해 경기도의 산업 구조 변화를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생산함수를 활용한 투입요소 간 대체탄력성 분석 및 경제 충격이 특정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R-KLEMS DB는 향후 연도별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이며, 이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산업별 생산성 분석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역 정책 연구를 위한 분석 모형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CGE 모형을 활용한 정책 분석 및 환경경제통합계정 구축에도 적용될 수 있어, 산업정책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 수립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경기도 산업의 생산성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지역 KLEMS DB 구축의 첫걸음을 마련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산업연관표와 결합한 생산성 분석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데이터의 정교화를 통해 산업정책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 이를 통해, 경기도는 산업별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한미진의 다른 보고서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성과확산부
  • 담당자 김지은
  • 전화번호 031-250-3261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