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MZ 평화관광 추진의 쟁점과 과제
과제분류정책브리프
발행연도2022
보고서 번호2022-14
저자정대영, 서정욱
□ DMZ 평화관광은 기존의 안보관광에서 공간적・내용적 범위가 확대된 개념
○ 주로 판문점, 땅굴, 통일전망대 등 민통선 지역에서 이루어졌던 관광 형태에서 점차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관광 활동까지 포함하는 범위로 확대되는 추세
○ 이러한 측면에서 DMZ 평화관광은 DMZ의 평화적 기능을 복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접경지역 발전을 위한 새로운 동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
□ 최근 한반도 정세 변화로 높아진 DMZ 평화관광의 불확실성, 정책 추진 및 관광상품 운영의 구조적 한계, 그리고 관광객의 인식 및 행태 변화 등이 주요 쟁점 사항
○ 최근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지속되고 있어 DMZ 평화관광이 위축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
○ DMZ 평화관광은 법・제도적 제약, 유사・중복사업 추진, 통합마케팅 부재 등 개선 필요
○ DMZ의 ‘관광활동 제약’, ‘복잡한 출입절차’ 등이 방문객의 불만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세대별로 DMZ에 대한 인식, 방문행태, 선호 프로그램, 참여의도 등에서 차이 존재
□ DMZ 평화관광 전담조직을 중심으로 한 인프라 조성, 콘텐츠 육성, 관광상품 운영, 마케팅 추진, 역량강화 지원을 통해 사업추진의 효율성 제고 및 지속가능성 확보
○ DMZ 평화관광의 협력체계(정부, 지자체 등) 관리, 통합마케팅, 각종 리스크 대응 및 안전관리 등 평화관광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는 전담조직을 구성하여 사업추진 필요
○ (인프라 조성) 공공부문이 주도하여 ‘DMZ 평화관광 거점’을 조성하고, ‘DMZ 평화의 길 동서횡단구간’ 주변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관광 편의시설(문화시설, 숙박시설 등)을 확충
○ (콘텐츠 육성) DMZ 자원 수집 및 통합아카이브 구축을 통해 DMZ 스토리텔링 기반을 체계적으로 마련하고, 이를 활용하여 ‘DMZ 평화관광 콘텐츠’ 개발
○ (관광상품 운영) 모바일 환경에서 평화관광상품의 정보검색, 예약, 결제, 교통서비스 등을 한 번에 이용할 수 있는 ‘(가칭)DMZ 평화관광 플랫폼’을 구축하여 이용자 편의 증진
○ (마케팅 추진) DMZ를 국제적 명소로 브랜딩하기 위한 ‘DMZ 평화관광 통합브랜드’ 구축과 체계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
○ (역량강화 지원) DMZ 및 접경지역 주민들이 참여하는 관광인력(문화관광해설사) 및 주민사업체(숙박, 식음, 체험 등) 육성을 통해 지역 일자리 창출 및 주민소득 증대에 기여
○ 다만, DMZ 평화관광 전담조직은 다각적인 대안 비교를 통해 설립 타당성 검토 필요

경기연구원 연구보고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의 CC 라이센스 조건에 따라 저작물에 대한 출처 및 저작자 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하며 2차 창작을 금지합니다.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관리부서 성과확산부
- 담당자 김지은
- 전화번호 031-250-3261